중첩규제 시달렸는데… 양평 첫 산업단지, 주민 ‘숨통’

  • 입력 2025-07-16 18:25:18
양동산단, 국토부 지정계획 통과

일자리 부족·청년층 이탈 등 악순환
‘실현 가능 산업’ 군정 전환점 평가
하반기 중투심… 2032년 준공 목표

16일 물맑은양평체육관 인근에 양동일반산단 국토교통부 지정계획 통과를 환영하는 현수막이 게시돼 있다. 2025.7.16 양평/장태복기자 jkb@kyeongin.com ‘산업단지 지정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이달 초 양동일반산업단지가 국토교통부 지정계획을 통과하며 양평군 양동면에 산업단지가 들어선다는 소식이 전해진 뒤 양평지역 곳곳에 현수막이 내걸리기 시작했다. 단순한 문구였지만 오랜 시간 무언가를 기다려온 사람들만이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었다.

양동일반산업단지는 양평 양동면 일원 약 5만8천㎡ 부지에 산업시설용지와 함께 종사자 기숙사, 중소기업지원센터, 일자리센터, 어린이집 등이 함께 조성되는 정주기반시설 포함형 산업단지다.

사업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전액 투자하는 공영개발 방식으로 추진되며 양평군은 올해 하반기부터 중앙투자심사와 설계 등을 거쳐 오는 2028년 착공, 2032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산단 지정은 양동면만의 이슈가 아니다. 중첩규제 아래 놓였던 양평 전체에 처음으로 주어진 ‘실현 가능한 산업기반’이란 점에서 군정 전반의 구조적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양평은 수도권정비계획법과 상수원보호구역, 군사시설보호지역 등 각종 중첩 규제로 그간 산업시설 유치에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로 인해 군내 제조업 기반은 제대로 확보되지 못했고, 일자리 창출은 커녕 기존 기업의 외부 이전 사례가 반복되는 고달픈 세월을 겪었다.

대표적인 예가 지평면에 기반을 뒀던 ‘지평막걸리’다. 해당 기업은 지역 내 대표적인 강소기업이었지만 생산거점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결국 타 지역으로 주요 공장을 이전했다. 지평에 60년 동안 거주한 한 주민은 “기술이 있고 브랜드도 있는 기업이 나간 건 단순한 손실이 아니라 지역의 자산이 빠져나간 것”이라고 푸념했다.

양평의 규제 환경은 일자리 부족과 청년층 이탈을 초래하며 지역 내 교육 기반까지 흔들어놓았다. 그동안 지역 학교의 폐교를 막기 위해 70~80대 어르신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등 주민들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결국 양동초등학교는 2026년 입학생이 한 명도 없을 것으로 예측되며 폐교 검토 대상에 오르게 됐다.

이런 상황에서 전해진 산업단지 지정 소식은 주민들에게 단순한 개발계획 이상으로 다가온다.

양동면의 한 주민은 “계속 줄어들기만 하던 마을에 이제야 뭐라도 들어온다니 숨통이 좀 트이는 느낌”이라며 “산단 유치가 학교도 살고 사람도 돌아올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