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여년간 추진 끝에 기재부 심의 통과
최대 걸림돌 ‘탄약고 이전’ 해결 길 열려
328만㎡ 부지에 스마트융합단지 조성

안양시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박달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사업의 최대 걸림돌이었던 군부대 탄약시설 ‘기부 대 양여’ 방식 이전 계획이 15년만에 기획재정부 심의를 통과해 사업부지를 확보할 길이 열린 것이다.
시는 최근 기재부 제27차 국유재산정책심의위원회에서 박달스마트시티 조성사업(안양 50탄약대대 이전사업)의 기부 대 양여사업계획(안)이 의결됐다고 14일 밝혔다.
박달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은 만안구 박달동 일대 328만㎡의 부지에 4차 산업혁명 중심의 첨단산업·문화·주거를 갖춘 스마트융복합단지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이 사업을 위해서는 사업부지 내 자리한 군부대의 탄약시설을 이전해야 하는데 대규모 시설을 이전할 장소와 안전 문제 등 여러 난제들을 협의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됐다.
시는 2010년부터 공약사업의 일환으로 ‘군부대 이전 및 활용대책 마련’ 방안을 논의하기 시작, 2018년 국방부에 탄약시설 이전을 공식 건의했다. 이후 경기도 및 지상작전사령부와 정책회의 등을 거쳐 2021년 국방시설본부에 합의각서를 제출했고 마지막 마무리를 위해 4년간 기재부, 국토교통부 등 중앙부처와의 지속적인 협의를 진행했다.
이처럼 15년간의 긴 협의 끝에 이번 국유재산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함으로써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

국유재산정책심의에서는 박달스마트시티 사업의 기부 대 양여 방식의 적합성, 대체시설 사업비 및 양여재산의 적정성 등이 검토됐으며 그 결과 사업 타당성이 인정돼 의결됐다고 시측은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특히 지자체 주도로 전국 최초 인공지능(AI)을 도입한 ‘스마트 탄약고’를 구축해 안전하고 획기적인 탄약관리 및 군사시설 효율화를 강조한 것이 좋은 결과로 이어졌다”면서 “양여 부지는 2030년까지 주거와 일자리를 모두 갖춘 스마트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최대호 시장은 “탄약시설로 인해 개발이 어려웠던 박달동 일원이 안양시의 새로운 거점으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사업 타당성이 인정된 만큼 올해 안에 국방시설본부와의 합의각서 체결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