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규제 악재, 미분양시장 호재로?

금리·취득세등 빵빵한 지원
돈줄 막힌 실수요자 눈돌려
건설사 적체물량 빠르게 소진
  • 이성철 기자
  • 발행일 2016-07-04
2016070301000132900005281
아이클릭아트
정부가 올들어 집단 대출 등 강력한 주택담보 대출 규제에 나서자 돈 줄이 막힌 주택 수요자들이 금융 부담이 비교적 적은 미분양 아파트로 빠르게 관심을 돌리고 있다. 미분양에 고민하던 건설사들은 이 분위기를 틈 타 기존 분양 조건보다 유리한 금융 혜택까지 추가 확대하면서 미분양 물량을 빠르게 소진시키고 있다.

3일 국토교토부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경기도 내 미분양 물량은 1만7천272가구로 집계됐으나 최근 들어 뚜렷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월 2만4천276가구였던 미분양 물량은 2월 2만491가구, 3월 1만9천47가구 4월 1만8천365가구로 올 들어 연이어 줄어 들었다.

부동산 업계는 이를 주택담보대출 심사 강화에 이어 집단 대출 규제까지 겹쳐지면서 자금 확보에 어려움이 커진 만큼 실 수요자들이 금융 부담이 적은 미분양 물량으로 옮겨갔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건설사들도 분양가 할인과 계약금 정액제, 중도금 무이자, 취득세 일부 지원 등 수요자를 위한 다양한 금융 혜택까지 내걸면서 거래 수요를 이끌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용인의 S아파트의 경우 당초 중도금 무이자 혜택만 내놨다가 미분양이 장기화 되자 잔금에 대해 3년간 1% 금리로 유예해주고 취득세의 50%를 지원키로 변경했다.

광주 E아파트의 경우 기존 계약금 1천만원 정액제와 중도금 이자 후불제에서 계약금 5%와 중도금 무이자로 변경해 관심을 끌고 있다.

이밖에 안성의 P아파트는 중도금 무이자에다 분양대금의 40%에 대해 이자를 2년간 지원해 주기로 분양 조건을 바꿨고 평택의 H아파트 역시 계약금 10%에서 500만원 정액제로 변경했다. 이에 대해 분양 대행사의 한 관계자는 "건설사 입장에서는 일정 부분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상황일 수 밖에 없다"면서 "문의해오는 고객들이 많다"고 말했다.

/이성철기자 l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