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택시가 올해 3분기까지 전국에서 두 번째로 땅값이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고덕국제신도시 개발과 미군기지 이전 등 호재가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같은 기간 경기도와 인천의 평균 지가 상승률은 전국 평균에도 못 미쳐, 수도권에 집중된 정부 부동산 대책 등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2일 발표한 '2017년 3분기 전국 지가 변동률' 자료에 따르면, 평택시는 올해 3분기까지(9월, 누계 기준) 지가 상승률이 5.81%를 나타냈다. 부산 해운대구(6.86%)에 이어 전국에서 지가 상승률 상위 두 번째다. 평택시에 이어 부산 수영구(5.69%)가 세 번째로 높았고, 세종시와 부산 남구(5.24%)가 뒤를 이었다.
평택시 내에서도 팽성읍(10.76%)과 고덕면(10.73%)은 지가 상승률이 두자릿수를 기록해 평택지역의 지가 상승을 이끌었다. 지제동과 신대동도 각각 7.23%나 올랐다. 고덕면과 지제동은 고덕국제신도시가 조성되는 곳이고, 팽성읍과 신대동은 평택 미군기지와 인접한 지역이어서, 일대 개발에 따른 호재로 지가가 급등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래픽 참조
같은 기간 전국 평균 지가 상승률은 2.92%를 나타냈다. 수도권이 2.91%, 지방이 2.95% 상승해 평균으로는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하지만 수도권은 서울(3.32%)의 땅값이 많이 올랐고, 경기(2.57%)와 인천(2.36%)은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치는 수준의 지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광역시·도별로는 세종이 5.24%로 전국에서 지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경기도는 지역별로 지가 상승률이 큰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경기북부 접경지에 위치해 별다른 개발 호재가 없는 연천군은 올해 지가가 1.12% 오르는데 그쳐 전국에서 네 번째로 땅값이 적게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동두천시 역시 개발사업 부재와 산간지역 거래 부진 등으로 지가 상승률이 1.26%에 그쳐, 연천에 이어 전국에서 다섯 번째로 낮았다.
경기·인천은 지가 상승률은 낮았지만 토지 거래는 활발했다. 3분기 누계 전체 토지거래량이 인천은 전년 동기 대비 26.1%나 증가했다. 경기도는 22.6%가 증가해 경기·인천 모두 전국 평균 토지거래 증가율(14.5%) 보다 훨씬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최규원기자 mirzstar@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