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세권·소형면적 이점 불구
446가구중 88가구 청약 그쳐
세대수·브랜드 약점 악영향
올해 연말 김포도시철도 완공을 앞두고 김포지역 부동산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음에도 최근 분양에 나선 김포한강 삼정그린코아 더베스트(이하 삼정그린코아)가 이례적으로 대량 미분양 사태를 맞았다. 실수요자들이 주변 여건 등 유불리를 꼼꼼히 따진 결과로 풀이된다.
7일 김포시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삼정그린코아는 김포시 양촌읍 양곡택지지구에 446세대를 분양할 계획으로 지난달 15일 모델하우스를 개장, 같은 달 21일과 22일 각각 1순위와 2순위 청약을 마감했다.
김포도시철도 구래역 역세권이면서 수도권 광역버스터널과 김포한강신도시가 지척인 입지에도 삼정그린코아는 전 면적에 걸쳐 대량 미분양되면서 '순위내 미분양'이라는 오명을 남겼다.
삼정그린코아는 특히 부동산 시장의 '블루칩'으로 통하는 소형면적을 대량 공급한 데다, 비투기과열지구에 민영주택이라 과거 당첨된 이들도 청약이 가능한 장점을 안고도 외면을 당했다. 업계에서는 상대적인 세대수 빈약과 브랜드 약세의 벽을 극복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분석을 하고 있다.
삼정그린코아 모델 가운데 최소 면적인 52㎡형은 79세대 공급분 중 불과 10세대(이하 1~2순위 합계)만 접수돼 69세대(87%)가 미분양됐다. 59㎡A형은 공급세대수 69세대중 28세대만 청약돼 41세대(60%)가 미분양됐으며, 59㎡B형도 102세대 가운데 11세대가 청약돼 90%에 달하는 91세대가 주인을 찾지 못했다.
가장 많은 196세대를 분양한 78㎡형은 39명이 청약해 0.2대 1의 저조한 경쟁률을 보이면서 157세대가 남는 등 미달이 속출했다. 전체적으로는 446세대 중 88세대만 청약, 청약률 19.7%로 김포지역 최악의 청약률을 기록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김포시에는 지난해 9월 걸포3지구에서 GS건설이 한강메트로자이 2천229세대, 12월에는 신곡6지구에서 롯데건설과 신동아건설이 캐슬앤파밀리에 1천600여세대를 분양했고, 오는 3월 분양예정인 향산지구에서 현대건설의 힐스테이트가 3천600여세대를 예고하는 등 대규모 단지가 쏟아지고 있다.
김포지역 한 공인중개사는 "실소유자가 많은 요즘은 대단지에 중소형 아파트를 선호한다"라며 "세대수가 적으면 기반시설이 상대적으로 빈약할 수밖에 없고, 브랜드가치가 곧 재산가치로 연결되는 분위기 때문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