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천지역 광역버스들의 만성 적자가 승객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어 광역버스에 대한 지원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4일 오후 인천 한 차고지에 주차해 있는 광역버스들. /임순석기자 sseok@kyeongin.com |
대당 10만원이상 손해감수
조건좋은 준공영제 이직多
3명중 1명 경력 6개월↓…
"인천시가 지원해야" 주장인천지역 광역버스 운수업체들은 만성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경영난은 부실 운영으로 이어질 수 있어 결국 피해는 고스란히 인천 시민의 몫으로 돌아갈 우려가 있다.
업체들은 인천시의 전폭적인 지원 없이는 현 상황을 벗어나기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광역버스 2개 노선을 운영하고 있는 A여객은 지난해 7억2천만원의 적자를 봤다. 인건비와 차량유지비 등 운송원가는 26억6천만원이었지만 수입은 지출의 72.9%인 19억4천만원에 불과했다.
인천에서 가장 많은 광역버스 노선을 가진 B교통도 2억3천만원의 손해를 보는 등 대부분 운수업체는 적자 운영을 면치 못하고 있다.
적자 원인은 단순하다. 버스 수익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승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달 26일 기준 인천 서구~서울 강남역을 오가는 9300번 광역버스 1대 당 평균 운행 수입은 35만9천원으로 2017년 준공영제 대형 간선버스 표준운송원가(58만8천631원)보다 20만원 이상 적었다.
기본요금인 2천650원으로 계산하면 하루 평균 135.5명이 이용했다는 것인데 승객은 출퇴근 시간에 집중돼 있고 낮 시간대는 거의 없다.
업체들은 이런 사정을 알면서도 서울이 직장인 인천시민들을 위해 적자 운행을 감수하고 있다. 운행수입 외에 환승 보조금, 광고수익 등 기타수입을 합치더라도 대당 10만원 이상의 적자가 발생한다.
올해는 최저임금이 전년도보다 16.4% 오른 7천530원이라 인건비 상승 부담까지 떠안게 됐다. 지난해 C교통의 광역버스 기사 평균임금은 월 260만~270만원 수준이었지만 올해는 월 300만원 이상으로 약 40만원 인상됐다.
C교통은 전년보다 한 달 평균 4천만원의 인건비가 더 지출될 것으로 보고 있다.
만성적자 탓에 광역버스 기사의 처우는 준공영제 버스 기사보다 열악하다. 월급은 평균 60만원 차이가 난다. 경력을 쌓은 광역버스 기사들은 조건이 좋은 준공영제 버스 회사로 떠난다.
A여객의 경우 현재 광역버스 기사 3명 중 1명은 경력 6개월 미만이다. 장거리에 고속 주행을 하는 광역버스 운전기사는 더 많은 운전 경험이 요구되지만, 현실은 거꾸로다.
광역버스의 경영난이 승객들의 안전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광역버스 업체는 재정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인천시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인천시는 준공영제가 아닌 버스에 재정을 지원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 광역버스 업체 관계자는 "지금까지 적자 속에서 업체 스스로 버티면서 기다렸지만, 인건비 문제까지 더해져 타격이 너무 크다"며 "올해 임금 인상분에 대해서는 최소한이라도 인천시에서 지원해 줄 방법이 마련됐으면 하고 바란다"고 말했다.
/김태양·공승배기자 ks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