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2차 수급 계획]경기지역 화장시설 23개 늘린다

  • 강기정 기자
  • 발행일 2018-03-16
원정화장 하고 있는 포천등
2022년까지 추가 건설 추진


2018031501001281700060731
오는 2022년까지 경기지역에 화장장 23개가 추가로 건설될 전망이다. ┃그래픽 참조

보건복지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2차 장사시설 수급 종합계획'(2018~2022년)을 15일 발표했다. 장사시설의 지역별 편차로 국민들이 겪는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화장장 등 인프라를 전국에 52개 추가로 확충한다는 게 정부 계획의 골자다.

특히 화장시설이 없는 포천 등 경기지역에 23개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경기도내 화장장은 수원과 성남, 용인 3곳 뿐이다.

이 때문에 경기북부 지역에선 관내에 화장시설이 있는 지역 주민들보다 최대 20배 더 비싸게 '원정 화장'을 해야하는 실정이다. 통상 화장시설들은 해당 지역 주민에게만 사용료 혜택을 주고 있다.

다만 현재 종합장사시설을 조성 중인 화성시만 해도 인접 지역인 서수원 주민들의 강한 반대에 부딪히는 등 화장시설을 대폭 확충하는데 대한 지역 내 반발이 제기될 수 있는 만큼 정부는 장사지원센터에 자문단을 설치해 입지 선정부터 설치, 조성 단계까지 갈등 조정을 전반적으로 지원키로 했다.

또 생활권역이 인접한 지자체 간 화장시설 공동 설치를 적극 지원하고 화장시설과 장례식장, 자연장지 등을 갖춘 복합형 종합장사시설 설치도 돕는다는 계획이다.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나무, 화초, 잔디 밑에 묻거나 뿌리는 자연장지 확대도 다각도로 지원한다.

정부는 이번 계획을 통해 화장률 90%, 자연장지 이용률 30%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보건복지부 측은 "장례는 모든 국민과 관계되는 사항으로, 장례 과정에서의 불편을 해소하고 품격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계획은 친자연적 장례문화를 확산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