쏟아지는 아파트 입주물량과 정부의 대출 규제로 우려됐던 경기지역의 역전세난(1월26일자 5면보도)이 가시화되면서 집주인과 전세 세입자 간의 '갑을 관계'가 뒤바뀌는 분위기다.
화성 동탄에 투자 목적으로 아파트를 분양받아 전세로 돌렸던 강모(43)씨는 다음달 세입자와의 전세계약 만료로 걱정이 태산이다.
전세금을 낮추는 조건으로 현 세입자에게 계약 연장을 요청했다가 거절당했다. 전세를 내놓은 부동산은 여전히 깜깜무소식. 자칫 잘못하면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할 처지에 놓일 판이다.
평택의 진모(50)씨도 시세보다 2천만원 낮게 세입자와 전세 연장 계약을 체결했다. 진씨는 "집주인이 전세금을 올려 세입자가 쫓겨난다는 말은 이제 옛말"이라고 말했다.
2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현재 도내 아파트 전세 물량은 총 11만2천200여건으로 전년 대비 30%가량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성남 9천건, 동탄 2천600건 등 화성이 7천400건, 김포·남양주·부천·광명이 각 5천건, 평택 3천800건 등이다.
다음달 7천500가구 등 올해 도내에만 16만 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어, 전세 물량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며 가격 하락세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감정원의 조사 결과, 도내 전세가격지수(100기준)도 지난해 말 99대로 하락한 뒤 계속 낮아져 현재 98대를 기록 중이다.
높은 전세금에 등골이 휘었던 세입자에게는 반가운 소식이 될 수 있지만, 역전세난이 가중되면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피해도 우려된다. 특히 전세물량 적체는 기존 주택과 새 입주 아파트의 '잔금 대란'으로 번지기 쉬워 건설 산업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크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역전세난은 규제의 사각지대를 악용해 벌어졌던 무리한 갭투자의 후유증"이라며 "전세금반환보증 보험에 가입하면 피해를 예방할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