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주차난 키우는 성남시 땅장사

  • 김규식·황준성 기자
  • 발행일 2018-04-17
판교
이 차들 어디로 가라고…-임시공영주차장으로 사용되는 판교 구청사 부지에 엔씨소프트 R&D센터 건립이 추진되면서 입주 직원을 비롯해 주변 상인과 주민들까지 주차난 가중을 우려하고 있다. 16일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641 임시공영주차장에 수 백대의 차량이 주차돼 있다. /김종택기자 jongtaek@kyeongin.com

임시공영주차장 활용 구청사 부지
엔씨소프트 R&D 센터 건립 추진
고질병 '주차공간 부족' 가중 우려
인근 기업 직원·주민들 반응 싸늘


주차전쟁을 방불케 하는 IT메카 판교에 성남시가 임시공영주차장으로 활용되는 구청사 부지를 엔씨소프트에 매각하려 하자 주차난 가중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성남시가 공공용지를 일반상업용지로 변경해 땅장사를 하면서 판교의 고질병인 주차난은 등한시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16일 시에 따르면 시와 엔씨소프트는 지난 2월 임시공영주차장인 분당구 삼평동 641 일원(2만5천720㎡)에 엔씨소프트 R&D센터 건립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시와 엔씨소프트는 R&D센터 조성으로 2만여명의 고용창출과 1조5천억원 규모의 경제파급 효과 등을 기대하고 있지만, 정작 판교 입주 기업의 직원들과 주민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811대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임시공영주차장이 폐쇄될 경우 주차난 가중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현재 판교 일대는 고질병인 주차난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의 '2017년 판교 테크노밸리(TV) 입주기업 실태조사' 결과 종사자 7만4천738명 중 33.13%가 승용차로 출퇴근해 2만4천761면의 주차면이 필요한데 공급량은 2만2천936면에 불과하다.

1천825면이 부족한 것. 여기에 스타트업 각종 지원시설과 기업체 방문객이 늘어나면서 주차난은 매년 심화되고 있다.

주차장법과 조례에 따라 업무용 시설은 100㎡당·교육연구시설은 200㎡당 1대의 주차장을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판교와 같은 인력집중형단지는 최소한의 법적 기준으로 조성돼 사실상 공급이 수요를 따라갈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이에 판교TV와 수㎞ 떨어진 판교역 인근에 마련된 공영주차장들은 항상 만원사례다. 민영주차장은 시간당 평균 3천원, 1일 2만원대로 이용에 부담이 따른다.

성남상공회의소가 판교 입주기업 100개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주차난이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혔다.

자유한국당 노환인 성남시의원은 "공유재산은 시민의 재산"이라며 "주차 문제 등까지 고려된 애초 지구단위계획대로 추진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엔씨소프트 관계자는 "아직 MOU만 체결했을 뿐 구체적인 계획은 세우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성남시도 "시의회에 부지 매각 동의를 받아야 구체적인 안을 설립할 수 있다"며 "현 의회는 종료돼 다음 의회에 상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규식·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