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금리 인상 영향으로 국내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4% 수준까지 상승하면서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장기간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수익형 임대상품인 오피스텔은 임대수익률이 대출금리 대비 일정 수준(약 2~3%) 이상 높아야만 투자가치가 유지될 수 있다.
하지만 금리 인상과 올해 오피스텔 입주물량이 8만실 가까이 쏟아지는 등 악재가 겹치면서 수익성 확보에 빨간불이 켜졌다.
10일 부동산 114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전국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연 5.06%로 5%를 유지하는 것이 위태로워졌다. 수도권은 서울 4.75%, 경기 5.04%, 인천 5.95%로 나타났다. 2016년 5% 이하로 떨어진 후 쉽게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5대 광역시도 ▲울산(4.63%) ▲대구(4.73%) ▲부산(5.17%) ▲광주(6.50%) ▲대전(7.23%) 등으로 조사됐다.
올해 전국 오피스텔 입주물량은 7만9천21실로 부동산 114가 통계 집계를 시작한 1999년 이래 두 번째(2004년 9만471실)로 많은 물량이다.
2010년 입주물량(6천873실)과 비교하면 11.5배가 많다. 경기지역에선 3만6천687실로 가장 많고 서울 1만3천400실, 인천 5천235실로 수도권에서만 전체 물량의 70%인 총 5만5천313실이 입주 예정이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오피스텔에 대한 초과공급 우려감은 2019년에도 이어질 전망이어서 임대상승률은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반면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현재 연 4% 수준에서 2018~2019년에도 추가 상승을 예고하고 있어 저금리 유동성 효과로 주목받던 오피스텔 상품가치의 하락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규원기자 mirzstar@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