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입주 아파트 급증하는데 내달 1만가구 또 쏟아진다

  • 황준성 기자
  • 발행일 2018-08-14
도내 입주율 82.4% 3개월째 하락
경기 남부 물량 집중 '대란' 우려

세입자를 구하지 못한 미입주 아파트가 경기도에 늘고 있는 와중에 다음 달에도 대규모의 물량이 쏟아질 계획이어서 입주 대란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3일 부동산 114에 따르면 다음 달 경기도의 입주 물량은 1만1천438가구로 전국 3만394가구 중 37%를 차지하고 있다. 주로 시흥 2천483가구, 평택 2천336가구, 화성 1천617가구 등 올해 입주가 꾸준히 이뤄졌던 경기 남부지역에 몰려 있다.

문제는 화성과 평택 등 경기 남부지역에만 올해 입주 물량이 총 8만5천가구에 달하는 등 단기간에 집중되면서 입주 대란의 전조가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주택산업연구원의 조사를 보면 도내 입주율은 지난 6월 82.4%에 머무는 등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0채 중 2채가 빈집인 셈이다.

미입주의 주된 사유는 기존 주택 매각 지연이 36.7%로 가장 높았고, 세입자 미확보 역시 34.2%로 두 번째를 차지하면서 역전세난도 시사하고 있다.

게다가 앞으로 입주의 전망치(입주경기실사지수·100 기준)도 계속 떨어지고 있다. 지난 5월 70.6이었던 지수는 지난 6월 57.1로 대폭 하락했다. 과잉공급으로 인해 실거주자 및 세입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실제 화성·평택·용인 등 올해 입주가 집중됐던 지역에선 전세가가 계속 하락하고 분양가보다 낮은 '마이너스 프리미엄' 매물까지 속출하고 있지만 사정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입주가 늦어지면 잔금 납부까지 지연되기 쉬워 건설사의 자금 흐름까지 차단돼 건설 경기가 악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분양대금은 계약금 10%·중도금 60%·잔금 30%로 구성되며, 입주 때 잔금납부를 완료하기 때문이다.

주택산업연구원은 "1천세대 이상 대규모 입주가 예정된 사업장의 경우 모니터링을 강화, 수분양자의 미입주 원인을 철저히 파악하는 등의 입주지원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