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중구, 영종국제도시內 공공복합청사 추진

  • 이현준 기자
  • 발행일 2019-04-22
행정·문화·복지·노인지원 동시에
김재익 부구청장 단장 13명 팀구성
4개동 시설·적합지 찾기 TF 가동
이용객 편의·효율적 방안 모색


인천 중구가 영종국제도시 내 공공복합청사 구축 방안을 모색한다.

중구는 최근 '영종국제도시 공공·사회복지·문화시설 건립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태스크포스는 김재익 중구 부구청장을 단장으로 기획감사실, 미래전략실, 총무과, 문화관광과, 재무과 등 10개 부서 관계자 13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영종국제도시에 조성이 계획된 공공청사와 문화회관,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등 4개 건물을 '공공복합청사'로 만들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게 된다.

영종국제도시 내 공공청사 부지나 공공업무시설 부지 가운데 공공복합청사가 들어설 적합한 위치도 찾게 된다.

중구는 공공복합청사를 만들게 되면 행정과 문화, 복지 등 기능을 동시에 갖추게 돼 이용객들의 편의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건축에 필요한 사업비를 낮추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들 4개 건물을 짓는 데에는 750억 원의 사업비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서울 성동구의 경우 지난 2017년 지하 2층 지상 3층 연면적 3천701㎡규모의 공공복합청사를 건립해 운용 중이다. 이 복합청사는 어린이집과 동주민센터, 주민자치회관, 노인복지센터, 헬스장 등 시설을 갖추고 있다.

서울 동작구와 서초구도 행정기능과 상업시설, 주민편의시설 등을 갖춘 공공복합청사 건립을 추진 중이다. 공공복합청사가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다는 게 중구 설명이다.

중구 관계자는 "행정과 문화, 복지, 노인지원 등의 기능을 한곳에 모으는 게 시너지나 이용객 입장에서 좋을지, 아니면 2개 기능 정도만 묶고 나머지는 개별적으로 짓는 게 효과적 일지 등을 TF에서 논의하게 될 것"이라며 "가장 효율적인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한편 중구는 영종국제도시 인구가 3월말 기준 7만8천여명으로, 지속해서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현준기자 uplhj@biz-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