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8월 서울 한 상가에 임대 안내문이 붙은 모습. /연합뉴스 |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와 금리 인하로 '상업·업무용 부동산'에 돈이 몰리고 있다.
3일 수익형부동산 연구개발 기업 상가정보연구소는 국토교통부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 10월 서울의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액이 전년 동기보다 57% 증가한 1조2천790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의 거래량이 눈에 띈다. 지난 10월 서울의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량은 478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16건 늘었다. 이는 약 32% 증가한 수준이다.
구별로 살펴보면 중구가 6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영등포구(56건), 광진구(53건), 종로구(43건), 강남구(40건) 순으로 많았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할 것으로 전망한다. 지난 달 국토교통부가 강남4구를 비롯해 마·용·성(마포·용산·성동) 등 서울 총 27개 동을 분양가 상한제 적용지역으로 선정했기 때문.
게다가 기준금리도 현재 1.25%로 역대 최저 수준이다. 은행을 떠난 유동자금이 수익형 부동산에 몰릴 수 있다는 얘기다.
조현택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으로 아파트 매물 품귀 현상, 아파트 시장의 각종 규제로 부동자금이 수익형 부동산으로 몰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상가 투자의 분위기가 안 좋으면 투자는 우량 상가에 쏠릴 수밖에 없다"며 "입지가 좋지 않은 상가는 점점 경쟁력을 잃어 상가 양극화 현상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김명래기자 problema@biz-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