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 송파구 문정동 오피스텔 전경./상가정보연구소 제공 |
정부의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규제에서 자유로운 오피스텔에 투자 수요가 몰린 것이란 예상과 달리 찬바람이 불고 있다.
상가정보연구소 조사를 보면 올해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 지수는 1월 99.6(2017년 12월 기준 100)로 조사됐다. 2월 매매가격 지수는 1월 대비 0.08%포인트 감소한 99.52였으며 3월은 이보다 0.03%포인트 더 하락한 99.49를 기록했다.
3월 수도권과 지방 광역시 오피스텔의 경우 1월 대비 매매가격 지수가 가장 많이 하락한 지역은 0.36%포인트 하락한 경기였으며 이어 ▲인천(-0.33%포인트) ▲울산(-0.25%포인트) ▲부산(-0.22%포인트) ▲광주(-0.21%포인트) ▲대구(-0.08%포인트) 등의 순이었다.
3월 오피스텔 매매가격 지수가 1월 대비 상승한 지역은 0.15%포인트 상승한 서울과 0.02%포인트 오른 대전 뿐이었다.
오피스텔 면적에 따라 매매가격 지수 변동은 다르게 나타났다. 전국 전용면적 40㎡ 이하 오피스텔 매매가격 지수는 1월 98.8, 2월은 98.7로 1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3월도 98.6으로 2월 대비 0.1%포인트 떨어졌다.
그러나 전용 40㎡ 초과 오피스텔 매매가격 지수는 1월 101.4를 시작으로 ▲2월 101.5 ▲3월 101.6으로 두 달 연속 상승했다.
조현택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최근 대출을 비롯한 청약 제도 등의 주거용 부동산 규제로 오피스텔이 풍선효과를 얻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으나 최근 분양한 오피스텔 분양률이 저조했고 작년 대비 거래량도 하락했다"며 "다만 고가 오피스텔 같은 경우 자금출처 조사가 필요 없어 거래와 관심이 늘면서 최근 실거주를 목적으로 한 큰 면적의 오피스텔 수요가 높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양극화 현상도 심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상일기자 metro@biz-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