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단 스마트시티 무산]신기루처럼 사라진 '검단 스마트시티'

인천시, 두바이측과 기본협약안 이견… 유정복 시장 '무산' 공식발표
인천도시공사·LH 등과 TF 구성 '새빛도시' 정상화 대책 모색
  • 박경호 기자
  • 발행일 2016-11-18
인천 서구 검단새빛도시(옛 검단신도시) 내에 중동 자본을 끌어와 4차 산업중심 첨단도시를 개발한다면서 추진해 온 총 사업비 5조원짜리 대형 프로젝트인 '스마트시티 코리아'사업 구상이 결국 신기루처럼 사라졌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17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6일 스마트시티두바이(SCD)와 스마트시티코리아(SCK)에 검단 스마트시티 기본협약 협상을 종료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며 사업이 무산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스마트시티 코리아 사업은 검단새빛도시(11.2㎢) 내 472만㎡ 부지에 두바이 측이 약 5조원의 재원을 조달, 정보통신기술(ICT)·미디어콘텐츠·금융·교육 분야의 글로벌 기업 등을 유치해 업무·주거·오락·교육 등을 복합한 자족도시 건설을 목표로 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이 지난해 3월 두바이를 방문해 두바이투자청으로부터 투자의향서(LOI)를 제출받은 '인천 퓨처시티' 사업으로 시작됐다. 같은 해 6월 '스마트시티 코리아' 사업으로 전환해 두바이 측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고, 올 1월 합의각서(MOA)를 체결하면서 인천시와 두바이 측의 협상이 본격화됐다.

MOA에 따라 올 2월 사업추진을 위한 특수목적법인(SPC)인 SCK를 설립하고, 8월 마스터플랜을 제출하는 등 사업이 비교적 순조롭게 추진됐다는 게 인천시의 설명이다.

그러나 인천시와 두바이 측은 구체적인 토지가격과 이행조건 등이 담긴 기본협약안을 두고 이견을 보이며 사업이 틀어지기 시작했다. 시와 두바이 측 협상 쟁점은 ▲협약 이행보증금 2천600억원 납부시기 ▲개발비 납부금액과 납부시기 ▲SCD가 책임 있는 투자자로서 기본협약 체결당사자로 참여 등이다.

시는 지난달 31일 SCD와 SCK에 최종 기본협약안을 제시했고, 이달 2일 두바이 측이 인천시 최종안에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 사실상 사업이 무산됐다.

인천시가 15일 동안 '사업무산' 발표를 미뤄온 것에 대해 유정복 시장은 "2일 이후에도 SCK에 이행보증금 납부시기와 개발비에 대한 유연성 있는 조건을 제시하는 등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도록 최후의 노력을 해왔다"고 말했다.

스마트시티 사업추진으로 1년여 동안 사업이 중단된 검단새빛도시는 약 1천억원의 금융손실이 발생하는 피해를 떠안게 됐다. 투자유치 관련 국제사회에서 인천시의 신뢰도 하락 등도 우려된다.

인천시는 기존 검단새빛도시 사업을 재개하기 위해 시·인천도시공사·LH 등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조만간 새빛도시 정상화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날 기자회견 직후 검단지역 주민들이 유정복 시장과 인천시 고위 관계자들에게 욕설을 퍼부으며 강하게 반발하다가 시청 청원경찰에게 제지당하기도 했다. 유정복 시장은 "사업 성공을 기대했던 검단 주민들은 물론 인천시민의 마음을 헤아릴 때 참으로 안타깝고 송구스럽다"고 말한 뒤 기자회견장을 빠져나갔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