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공원 어떻게 개선돼야하나

리모델링 방향 '녹지기능 < 이용률'
  • 박경호 기자
  • 발행일 2017-01-16 제3면

2017011501000987800047921

길이 3.9㎞ 도시재생공간, 지역특성 연계 전체적 다시 설계
각 지구간 에코브릿지 조성 등 연관성·접근성 강화 조언도


중앙공원 3·4·5지구(구월동) 쪽은 '붉은 고개'라 불린 인천의 대표적인 무허가 판자촌이었다. 이 일대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추진되면서 중앙공원으로 탈바꿈했는데, 시는 2000년까지 철거문제 등으로 붉은 고개 주민들과 갈등을 빚었다.

중앙공원 조성사업을 추진한 최기선 전 인천시장은 지난해 발간한 회고록에서 "여기(중앙공원)에 상업시설을 넣자는 의견이 있었지만 나는 일언지하에 거절했다"고 했다.

중앙공원이 없었다면, 인천지역 주요 관공서와 상업지구가 몰린 대도심의 풍경은 삭막하기 그지없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도시녹화분야 전문가인 권전오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인천 도심의 중심에 조성된 대규모 공원인 만큼 위치적으로는 매우 소중한 공간"이라며 "중앙공원을 제대로만 활용한다면 전국적인 명소가 될 수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위치도 참조

1992년부터 본격화한 중앙공원 조성사업이 2005년 모두 마무리되기까지 13년이나 걸리다 보니, 공원 9개 지구가 일관된 주제 없이 산만하게 조성돼 통일성이 떨어지고 편의시설이 중복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공원관리 주체 또한 지구마다 인천대공원사업소, 인천시 시설관리공단, 남동구청 등으로 제각각이라 통합적인 관리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권전오 연구위원은 "길이가 3.9㎞에 달하는 중앙공원 면적을 모두 합치면 어마어마한 규모지만, 종합적인 공원으로서 성격을 갖지 못하고 있다"며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는 도시재생공간으로 접근해 주변 지역 특성과 연계한 전체적인 설계를 다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앙공원이 연수구와 서구 청라지역이 개발되기 전까지 인천 도심발전의 핵심인 구월지구에 녹지 축을 조성한다는 목적은 달성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인천시가 추진할 중앙공원의 리모델링 방향이 녹지기능보다는 이용률을 강화하는 데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특히 도로로 둘러싸인 중앙공원 연결성을 확보하는 게 핵심이라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중앙공원은 9개 지구 사이사이에 뚫린 도로 때문에 처음부터 끝까지 한 번에 공원을 걸을 수는 없다. 횡단보도 보행신호를 기다렸다가 건너야 한다. 공원 양옆을 가로지르는 도로도 주변 업무·상업지역이나 주거지역과의 접근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중앙공원이 지금처럼 근거리 이동통로나 산책·운동공간 역할만 할 수밖에 없는 가장 큰 이유다.

조강희 인천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각 지구를 잇는 에코브릿지(생태통로)를 조성하거나 일부 도로는 폐쇄하는 등 단절된 공원의 각 지구간 연결성을 강화해야 한다"며 "시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과감한 발상의 전환을 통한 리모델링을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비즈엠 포스트

비즈엠 유튜브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