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팩트-경기도 4대강 보 건설 효과는]남한강 일대 수질 '그대로' 수해 적었던 곳 '치수효과' 미지수

  • 신지영 기자
  • 발행일 2017-06-01
3면
1일부터 상시 개방되는 4대강 보를 두고 생태계 회복을 위해 찬성하는 측과 보의 기능 상실을 우려하는 반대 측의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사진은 여주시 대신면 천남리에 건립된 남한강 여주보 모습. /하태황기자 hath@kyeongin.com

강천·여주·이포보 주변 사업전후
BOD·COD등 오염지표 변화 없어
도내 지방·소하천 범람 훨씬 많아국가하천 본류에 공사 무의미 지적


2017053101002219100109791
4대강 사업을 두고 찬반 진영에선 보를 수질 악화의 원인으로 지목하는 시선과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보 건설로 수해 피해를 예방했다는 주장에 대해 반대론자들은 본류가 홍수 피해가 없는 지역이라 사업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반박한다.

■4대강이 수질에 미친 영향은 없어

=한강유역은 나머지 4대강 사업지인 영산강·금강·낙동강과 다르게 심각한 녹조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수질에 미친 영향이 없다는 것이 4대강 찬성론자의 주장이다. 환경부 조사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강천·여주·이포보 주변의 물을 채집해 분석한 결과, 눈에 띄는 수질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래픽·표 참조

2017053101002219100109793

물 속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는 데 필요한 산소의 양으로 물의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가 일정한 수준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 밖에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 데 필요한 산소의 양인 COD(화학적 산소요구량)는 물론 용존산소·부유물질 등 다른 지표도 비슷했다.

환경부 측은 "남한강 일대는 4대강 사업 전에도 1급수에 해당하는 수질을 유지하고 있었고, 사업 뒤에도 더 좋아지거나 나빠지는 등의 변화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한강 홍수 피해는 없었지만, 피해는 지방·소하천에 집중

='홍수 통제'는 4대강 사업의 주요 추진 이유 중 하나다. 보 아래를 6m 깊이로 파서 물을 가둬 놓은 뒤, 수문을 통해 유량을 조절하면 하천 범람을 막을 수 있다는 논리다.

실제로 경기도 내 3개 보가 모두 준공된 2012년 이후 남한강 유역에 범람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홍수 피해 대부분이 한강 등 국가하천이 아니라 지방·소하천에 집중돼 4대강 사업 자체가 홍수와 관련이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6년 사이 도내 국가하천의 홍수 피해액은 26억 원에 불과했지만, 지방·소하천의 피해액은 671억 원에 달했다. 이 뿐만 아니라 홍수피해로 복구된 구간을 비교해도 국가하천(4㎞)보다 지방·소하천(499㎞)이 훨씬 길었다.

복구에 소요된 예산 역시 지방·소하천에 2천497억 원이 투입돼 국가하천(54억 원)에 들어간 예산의 46배를 기록했다. 도내에서 발생한 지난해 홍수 피해 지역만 보더라도 포천시 21곳, 가평군 17곳 등 북부지역 지방·소하천에 집중됐다.

보가 준공되기 전인 2011년 역시 국가하천의 피해 구간은 1㎞에 불과할 정도로 국가하천은 '홍수 무풍지대'였다.

상황이 이렇자 일각에선 홍수 통제를 위해서라면 4대강이 아니라 지천을 중심으로 치수 작업을 했어야 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홍수를 막기 위한 사업이라면서 피해가 없는 남한강에 보를 건설하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되는 일"이라면서 "돈이 되는 본류에 집중해 건설업자만 배불렸다"고 지적했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