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 0.4㎢ 매립 교육단지화·철책선 철거 접근성 확보
해안가 6곳 2035년까지 중·장기적 거점 개발 착수키로
인천은 바다를 끼고 있지만 항만과 군부대 철책 등에 가로막혀 시민들이 직접 바다를 접하며 즐길 수 있는 공간은 많지 않다. 인천시가 이런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해양 친화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중·장기 대책을 마련했다.
인천시는 2035년까지 친수 공간 확보와 해안가의 개발 계획 청사진을 담은 '해양친수도시 조성 기본구상'을 수립하고 18일 최종 보고회를 열었다.
시는 '시민에게 열린 바다, 미래세대를 위한 도시'를 구호로 내세워 인천 지역 6개 해안가를 친수 거점으로 삼아 개발에 착수키로 했다.
인천시는 우선 해양친수도시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경인아라뱃길 경인항·인천항 내항·송도·소래·영종도·강화도 등 6곳을 친수 거점으로, 24곳을 친수공간 활용 지역으로 선정했다.
이 중 7곳은 선도사업 대상 지역으로 정해 2020년까지 친수공간 조성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시는 경인아라뱃길 경인항 입구 갯벌 약 0.4㎢를 매립해 해양레저 교육단지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경인아라뱃길에 수도권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마리나 시설이 있는 만큼 조정 면허 시험장이나 해양 레저 스포츠를 교육할 수 있는 집적화 단지를 조성해 수도권 해양 스포츠의 앵커 시설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이와 함께 경인항 인근의 해안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해 해안 철책선 4.4㎞를 군부대와 협의해 철거하고 해안 둘레길를 조성할 계획이다.
인천항 내항은 역사·문화 중심지로 육성한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내항 재개발과 개항창조도시 사업을 차질없이 진행하고 쇠퇴한 도심 부두인 만석, 화수부두 약 1.2㎞를 잇는 해양 데크를 설치한다. 자유공원과 인천항 내항, 월미도, 소월미도를 연결하는 해양 케이블카 설치 사업에 대한 타당성 검토도 진행할 방침이다.
송도 지역은 '워터프런트' 기본계획에 맞춰 친수공간이 확보될 예정이며 아암도 인근 6천㎡ 해변에는 인공 백사장을 만드는 '아암도 비치파크' 사업을 추진한다. 시민들이 바다를 눈으로 보는 것만이 아닌 직접 모래사장을 거닐며 바다를 접할 수 있도록 아암도 일대에 인공 백사장을 조성하겠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이밖에 시는 소래 아트홀 앞 수변에 해양체험공간을 조성하고 영종도에는 해안 둘레길 확대, 강화도 남단 갯벌은 람사르 습지로 지정 추진하는 등 친수공간 마련을 위한 계획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우선 2020년까지 화수부두와 만석부두를 잇는 해양 데크 설치 사업을 비롯해 7개 선도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2035년까지 해양 친수 공간 확보 사업을 단계적으로 나눠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