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 2차 테크노밸리가 조성이 2파전을 벌여온 구리·남양주와 양주시를 공동선정이라는 '윈윈' 형태로 끝났지만(11월14일자 1·3면 보도), 해당 지자체들은 기쁨을 누릴 새도 없이 입주 기업 수요 걱정을 시작해야 할 판이다.
14일 경기도와 관련 지자체 들에 따르면, 아무도 예상치 못한 깜짝 결과에 양쪽 모두 축배를 들었지만 속내는 복잡한 상황이다.
두 지역에서 유치해야 할 기업체 수가 4천개에 달하는데 북부에는 또 하나의 테크노밸리가 고양시 일산에, 두 개 부지를 합친 것과 맞먹는 규모(80만㎡)로 들어서기로 결정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양주와 구리·남양주시장은 서로 주력사업이 다르니 다같이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며 공동선정에 합의했다지만 지식기반 및 첨단산업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북부 세 곳 테크노밸리는 앞으로 기업 유치 경쟁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실제 양주시는 지난 1년 동안 테크노밸리 유치를 위해 기업과 대학을 만나 협력을 요청한 결과 56곳이 입주 의사를 타진했다고 밝혔지만, 총 유치해야 할 기업이 2천여 개 인점을 감안하면, 테크노밸리 조성이 버거운 것으로 보인다.
구리·남양주가 제시한 부지 29만㎡ 에는 최대 1천900개 업체가 들어올 것으로 밝혔지만, IT관련산업 육성 및 사물인터넷 기반 도시 조성이라는 측면에서 고양시와 입주업체가 중복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해당 지자체들도 이같은 부분을 인정하고 있다. 이들 관계자는 "한꺼번에 세 곳이 조성되면 아무래도 성공 가능성이 낮아질 수 밖에 없다. 앞으로 경기도·도시공사 등과의 협의를 통해 수요나 규모를 신중히 검토해 사업을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상 경의, 경원, 경춘선에 입지 계획이 있었는데 두 곳이 한꺼번에 선정되면서 시기가 앞당겨졌을 뿐"이라며 "앞으로 용역 등을 통해 좋은 결과를 도출해 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민정주기자 z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