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2일 광명시 철산동 일대 공인중개업소. 광명시 철산동 일대 집값이 급상승하면서 주변 일대 매물이 사라지는 등 매물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박연신기자 julie@kyeongin.com |
직장인 수요 많고 투자 요인 풍부
자진회수 늘어 '아파트 매물실종'
광명의 강남으로 불리는 철산동 지역의 집값 폭등세가 일대 부동산 가격 상승에 불쏘시개로 작용하고 있다.
부동산 매물 품귀 현상을 빚고 있는 철산동 지역의 분위기가 광명동과 하안동 일대로 번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22일 국토교통부와 광명지역 공인중개사사무소 등에 따르면 최근 지역 공인중개사사무소에서 철산동 지역 아파트의 매매 물량이 사라졌다.
최근 두 달새 철산동 지역 아파트(전용면적 84.95㎡ 기준)의 매매가격이 최대 약 31% 가량(6월 4억400만원, 8월 5억2천800만원) 상승하는 등 상승세의 폭이 떨어질 기미를 보이지 않자 매도자 스스로 중개사사무소에 내놓았던 매물을 자진 회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분위기는 철산동 인접 광명동과 하안동 일대에서도 포착되고 있다.
지난 21일 찾은 광명·하안동 일대 공인중개사사무소 곳곳에서 아파트 매매 물량이 좀처럼 눈에 띄지 않았다.
이 지역은 직장인들의 수요가 많은 서울 가산·구로디지털단지와 인접해 있어 가뜩이나 투자 수요가 풍부한데다 지난 20일 광명시가 정책브리핑을 통해 철산동과 인근 지역에 대한 원도심 도시재생활성화 방안 등을 밝힌 영향 등으로 매도자가 매물을 거둬들이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심교원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로 시중에 풀어놓은 돈이 많아 수요자들은 많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강남을 제외하고 괜찮은 지역 한 곳으로 꼽히는 광명에 투자 열풍이 불게 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연신기자 juli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