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 농수산물시장에 쏠린 눈… 22년만에 사노동으로 가나

  • 이종우·전상천 기자
  • 발행일 2019-03-12
11일사진5
구리 농수산물 도매시장이 22년여 만에 시설 노후화 등을 이유로 사노동 그린벨트 부지로 이전을 검토하고 있어 지역경제 개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1997년 개장한 경기 동북부 최대 규모의 구리 농수산물 도매시장.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시설 노후 안전 문제·경쟁력 저하
市, 용역발주 10월께 본격 공론화
기존 부지, 복합산단 개발 가능성
일부 상인 '경영상 불리' 반대 여론


서울과 경기 동북부 일대에 농수산물을 공급해 오던 '구리 농수산물 도매시장'이 22년여 만에 사노동 그린벨트 지역으로 이전을 추진하고 있어 실현 여부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구리시는 현재 동구릉로 136번길 90(인창동) 대지 18만6천575㎡, 건물 14만4천226㎡ 규모의 구리 농수산물 도매시장을 시설 노후화 등을 이유로 사노동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부지로 이전을 검토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올 1월 초에 구리 농수산물 도매시장 이전 타당성 조사를 위한 용역을 발주, 10월께 결과가 나오는 대로 전문가와 주민공청회를 갖는 등 농수산물시장 사노동 이전을 본격적으로 공론화해 나갈 방침이다.

시는 지난 1997년 6월 문을 연 이후 연간 150만명이 찾는 경기 동북부 최대 규모의 구리 농수산물 도매시장 사노동 이전 추진은 서울 가락시장 등 다른 농수산물 도매시장 시설에 비해 과도하게 노후화 돼 안전문제가 꾸준히 제기돼 온 데다 경쟁력도 떨어지는 점을 감안해 이전을 검토하고 있다.

구리 농수산물 도매시장 이전부지로는 현재 사노동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는 사노동 일원 그린벨트 지역만이 구리 시내에서 유일하게 기존 농수산물시장(18만6천575㎡) 시설 면적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사노동 이전이 확정되면 기존 도매시장 부지는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첨단R&D시설과 아파트 등 주거단지 등 복합산업단지로 개발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어 기대감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일부 농수산물 도매시장 상인들은 도심 외곽인 사노동으로 도매시장을 이전하는 것은 오히려 경영상 불리한 점이 큰 만큼 이전 계획 자체를 반대하는 여론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임종선 시 산업경제과 시장유통팀장은 "용역결과가 나와야만 추진 여부가 최종 결정되는 사안인 만큼 성급한 판단은 위험하다"며 "도매시장 이전이 10년이 넘게 걸릴지 모르는 만큼 43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 농수산물 시설개보수 공사를 우선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종우·전상천기자 juns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