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재활용 모색 6월부터 용역 진행
난개발 방지… 지구단위계획 수립
동일방직 등 건물·부지 일부 매입
영화 세트장·스튜디오 활용 추진
인천시가 1950년대 지어진 동일방직 건물과 일진전기 공장 등 동구 지역에 몰려 있는 대형 공장의 건물과 부지 일부를 매입해 영화 세트장이나 스튜디오 등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이들 공장은 지금은 가동이 중단된 상태로 공장 부지 매각에 따른 난개발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인천시는 가동이 중단된 동구 지역 대형 공장 부지 일대의 난개발을 방지하고 공장의 재활용 방안을 찾기 위한 용역(동구 지구단위 계획구역 지정 및 지구단위 계획 수립 용역)을 오는 6월부터 내년 11월까지 진행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인천시는 우선 동일방직 인천공장 부지(7만5천817㎡)를 포함해 동구 지역 52만2천㎡에 대한 지구단위 계획을 이번 용역을 통해 새롭게 마련할 계획이다.
지구단위계획은 기존 시가지의 정비·관리·보존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도시계획 절차다. 해당 기업이 공장 부지를 일명 '쪼개기 방식'으로 매각하지 못하도록 도시계획을 변경해 난개발을 막겠다는 방침이다.
부동산 경기가 악화된 상황에서 해당 기업이 공장 부지 전체를 매각하지 않고 필지를 분할해 팔 경우 인천의 대표적 구도심으로 분류되는 동구 지역의 역사·문화적 가치가 크게 훼손될 수 있다.
인천시는 난개발을 막기 위한 이런 제도적 방침을 마련한 뒤 구도심재생사업 차원에서 동구 지역 공장들의 활용 방안을 찾기로 했다.
동구는 이미 지난해부터 동일방직 내에 있는 의무실, 기숙사, 강당 등 건축물을 보수해 스튜디오나 카페 같은 문화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1950년대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동일방직 의무실(258㎡)은 우리나라 전통양식, 서양식, 일본식이 복합된 독특한 양식의 건축물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동일방직 강당과 기숙사는 1970년대 한국 여성 노동운동의 역사가 서린 공간이기도 하다.
1978년 2월 동일방직 노조가 대의원 선출을 위한 투표를 시도하자, 사측에 매수된 남성 직원들이 여성 조합원들에게 분뇨를 뿌리며 막아버린 이른바 '똥물투척사건'이 강당과 기숙사 등에서 벌어졌다.
1956년 지어진 일진전기 인천공장(7만5천140㎡)의 경우 2015년 폐업 신고된 후 지금까지 뚜렷한 토지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해당 기업은 이곳에 물류센터를 짓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 동구에 있는 옛 공장은 인천의 훌륭한 문화·역사적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다"며 "일부 공장 부지를 매입해 문화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적극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