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부가 37개였던 청약조정지역을 40개로 늘리고, 해당 지역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각각 10%포인트씩 낮추는 규제를 발표하면서 부동산 대책이 앞으로 어떤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사진은 19일 오후 도내 한 부동산에 급매물을 알리는 전단지가 붙어있는 모습. /하태황기자 hath@kyeongin.com | 
호가 떨어지고 매수 끊겨
"집값 되레 떨어질듯" 우려
타 지자체는 관망 분위기'광명시 원주민들 피해만 불보듯…'.
19일 청약조정지역에 새롭게 추가된 광명시 주변 부동산 중개업소들은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였다. 중개업소 관계자들은 정부 대책발표 후 분위기를 묻는 말에 한결같이 "썰렁하다. 문의가 끊겼다"고 답했다. 예상하지 못했던 탓일까, 팔려는 사람도 사려는 사람도 사라진 것이다.
KTX 광명역 주변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대책 발표 후 평소보다 거래문의가 확연히 줄었다"며 "다들 어떻게 될지 모르는 분위기라 매수자나 매도자 모두 일단은 좀 지켜보려는  것 같다"고 밝혔다.
호가는 떨어졌고 매수 문의도 끊겼다. 경기도내 재개발·재건축을 대표하는 광명시의 분위기가 더욱 가라앉은 것이다. 광명시는 도내 가장 많은 11곳의 뉴타운이 추진 중으로, 최근 2~3년동안 KTX 광명역 주변을 중심으로 최고 1억5천만원 이상의 프리미엄이 붙는 등 활기를 띠고 있다. 
광명 뉴타운 지역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뉴타운이 현재 개발 중인 상황에서 분양권이 나오려면 앞으로 최소 2년은 더 있어야 한다. 이번 대책으로 투자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집 가격이 외려 떨어질 수 있을 것 같다. 피해는 고스란히 원주민이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도 "이번 부동산 정책 발표는 시기상조다. 정부 문건에 보면 예년 수준의 상승률이라는 표현이 있다. 부동산 가격 상승도 최근 몇주 동안만 지속된  것이다. 시장 과열 상태는 아닌 셈인데 규제 정책을 왜 강화하려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새로 청약조정지역으로 지정된 광명시 외에 도내 타 시군들은 관망하는 분위기였다.
김포신도시의 한 공인중개사사무소 실장 김모(43)씨는 "분위기가 안좋다. 자꾸 부동산대책 나온다고 하니까 시장이 얼어붙었다"고 전했고, 성남의 한 공인중개사 사무소 대표 신모(57)씨도 "분당과 판교가 있는 성남은 이미 청약조정지역에 포함된 데다 시장 과열 양상도 없다"며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진행 중인 신흥2구역, 중앙동, 금광지구의 경우 약간 가격 변동이 있을 수 있겠다"고 전망했다.
투기 세력을 겨냥한 만큼 분양권 가격 안정에 다소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됐다.
동탄의 한 공인중개사사무소 대표 양모(50)씨는 "분양권을 3천만~4천만원에 사서 2천만원에 파는 분들도 있다"며 "투자 목적의 손님들은 1천만~2천만원 손해를 보면서 정리하고  있지만 실수요자들에게는 내집마련의 꿈을 실현할 적기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이경진기자 lk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