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경인고속道, 인천의 미래로!·(2)통행료 폭탄 맞나]고속도로 아닌 '저속도로' 빨리 가려면 시민 부담 커질듯

  • 이현준 기자
  • 발행일 2017-11-16
2025년 개통 서인천~신월IC 지하 민자도로 '통행료 2배' 예상
일반도로 체증땐 불가피… 市, 전용로·BRT로 통행 감축 계획


2017111501001084600051151
경인고속도로 인천기점~서인천IC 구간의 관리권 이관과 일반도로화가 자칫 통행료 폭탄이라는 시민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900원(소형차 기준)의 통행료가 즉시 폐지돼도 모자란 상황에서 2025년 개통을 목표로 건설이 추진 중인 서인천IC~신월IC 구간 '지하 민자 고속도로'의 통행료가 현재의 2배 정도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신월에서 여의도까지 이어지는 서울제물포터널 민자 구간까지 감안하면, 통행료 부담은 훨씬 커질 것이라는 걱정이 많다. 시민 통행료 부담 최소화를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 통행료 폭탄 우려

경인고속도로 인천요금소에서 적용되는 현재 900원(소형차 기준)의 통행료는 적절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서인천IC~신월IC까지 지하 민자 고속도로가 개통되는 시점까지 부과된다. 이 구간 통행료는 지금 1천700원(소형차 기준)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구간 상부엔 제한속도 60~80㎞ 정도의 무료 일반도로가 생기지만 지금처럼 제한속도 100㎞의 고속도로를 다니려면 2배 가까운 요금을 내야 한다.

신월IC에선 선택을 한 번 더 해야 한다. 2020년 개통 예정인 '서울제물포터널'로 신월에서 여의도(7.53㎞)까지 '빠르게' 가려면 2천~2천500원을 더 내야 한다. 이 터널엔 무료 지하 일반도로가 함께 설치되는데, 목동까지(4㎞) 밖에 연결되지 않는다.

일반도로는 고속도로에 비해 제한속도가 낮을 수밖에 없고, 교차로와 맞물려 있어 교통체증 발생 가능성이 크다. 반강제적으로 지하 민자도로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 시민부담 최소화 방안 시급

인천시는 서인천IC~ 신월IC 간 지하 민자 고속도로의 대체도로 개념인 상부 일반도로로 다니는 차량이 일정 속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할 다양한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상부 일반 도로가 막혀 어쩔 수 없이 민자 지하도로를 선택하는 상황을 최대한 줄여 시민 부담을 최소화하겠다는 것이다.

인천시는 우선 상부 일반도로를 자동차 전용도로로 운용하고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도입해 승용차 이동량을 흡수시키겠다는 계획이다. 또 화물차들은 민자 지하도로에 전용 차로를 도입해 통행을 유도, 상부 도로를 이용하는 통행량을 줄일 방침이다.

인천시는 내년 도로 상부 구간의 적절한 활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용역을 추진할 예정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상부 일반도로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차량 속도를 낼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서인천IC~ 신월IC 구간에 걸쳐 있는 경기 부천, 서울시 등과 협의해 적절한 방안을 찾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