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의 역습·(2)입주민 빠져나가는 1기 신도시]새집으로 대이동… 옆동네에 뺏긴 경쟁력

  • 김태성·신지영 기자
  • 발행일 2018-01-30

낡은 주거환경 탓 배후단지로 이주
비슷한 가격에 기존 인프라도 공유
녹지 부족도 가치하락 이유로 꼽혀

2018012901001902200091221
노후된 1기 신도시 아파트는 낡은 주거시설을 기피하면서도 신도시 인프라를 누리고 싶은 입주민들이 인근 배후단지로 이주하면서 가치가 하락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지난 2016년 준공된 안양 덕천지구 래미안 메가트리아의 전용면적 84㎡의 최근 매매가는 6억5천만원으로, 같은 면적으로 평촌신도시 중심지에 위치한 향촌현대5차아파트와 시세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재개발 지구인 덕천지구는 평촌에 속하진 않지만 평촌과 5분 거리에 위치해 있어 분양 당시에도 평촌 생활권으로 홍보됐었다.

멀리 떨어지지 않은 1호선 안양역과 명학역 사이 1만4천여 가구 규모의 미니신도시급 주거단지가 조성 중이고, 메가트리아 맞은 편 진흥아파트까지 재건축에 돌입하는 등 덕천지구 주변은 평촌 인근을 이점으로 한 개발붐이 일고 있다.

분당 대체재로 떠오른 용인 동천지구나 지난 2007년 조성 이후 일산 주민의 관심을 받아온 고양 식사지구, 분당 주민의 판교 신도시로의 이주 등 1기 신도시의 지리적 이점은 가져가면서 쾌적한 주거환경을 찾는 수요는 늘 존재했다.

2018012901001902200091222
평촌에 거주하는 김모(48·여)씨는 "아이들 학원 등 교육부터 쇼핑, 공원까지 모두 마음에 들지만, 현재 낡은 집이 문제"라며 "기회가 된다면 평촌의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는 인근 새 아파트로 이사를 가고 싶다"고 했다.

이처럼 신도시 인프라의 후광을 업은 배후단지에 군침을 흘리는 사업자와 주민들이 몰리면서 1기 신도시의 노후화를 막을 특단의 대책이 없다면, 1기 신도시 가치는 더욱 하락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2000년대 이후 조성된 2기 신도시에 비해 도로는 물론 녹지비율이 적다는 점도 1기 신도시가 장기적으로 경쟁력이 낮아질 수밖에 없는 요소로 꼽힌다.

1기 신도시인 분당·일산·평촌·산본·중동의 1인당 평균 녹지면적은 7㎡로 도쿄(4.4㎡)나 베이징(4.5㎡)보다 높지만 런던(24.2㎡)·토론토(29.7㎡)에 비해 크게 낮았다.

 

특히 2기 신도시(성남판교·화성동탄·위례신도시·김포한강·파주운정·인천검단)는 녹지율이 평균 31%에 이르지만 1기 신도시는 그 비중이 19%에 불과했다. ┃그래픽 참조

LH 토지주택연구원 관계자는 "2기 신도시 조성 때는 삶의 질을 중시하는 생활 패턴을 반영해 녹지 비율을 높였다. 길게 보아, 인근의 신규 아파트나 2기 신도시 아파트들과 경쟁해야 하는 1기 신도시 아파트들이 경쟁력을 갖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태성·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