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3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과 경기 지역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던 일부 지역의 아파트값이 내림세로 돌아서며 부동산 대책 효과가 현실화하고 있다.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은 0.02%를 기록, 9·13대책을 기점으로 8주 연속 오름폭이 둔화한 것으로 조사됐다.특히 통합개발 호재 등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용산구는 이번 주 0.02%나 하락, 서빙고동 신동아아파트, 동부이촌동 한가람아파트 등지의 일부 매물도 7천∼1억원가량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또 흑석뉴타운 등 개발 호재로 가격이 급등했던 동작구의 아파트값도 이번 주 조사에서 0.02% 떨어졌다.동남권(강남 4구) 아파트값도 지난주 0.04% 하락해 지난주(-0.01%)보다 내림 폭이 커졌다. 이어 서초구의 아파트값이 지난주 -0.02%에서 금주에는 -0.07%로, 강남구가 -0.02%에서 -0.06%로, 송파구는 -0.04%에서 -0.05%로 지난주보다 더 많이 떨어졌다. 이런 현상은 경기·인천 등 수도권은 물론 지방에서도 나타나고 있다.경기도(0.06%)와 인천(0.02%) 아파트값도 지난주보다 오름폭이 둔화했다. 이런 가운데 분당신도시 아파트값이 금주 -0.01%를 기록하며 7월 말 이후 14주 만에 하락 전환했고, 대전의 경우 동구(-0.08%)와 대덕구(-0.06%)는 하락했다.반면, 지난주 0.08% 하락했던 세종시 아파트값은 정부청사 인근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올라 금주 0.02%로 상승 전환했다. 그러나 울산은 0.33% 하락하며 지난주(-0.30%)보다 낙폭이 확대됐고 경북(-0.18%), 경남(-0.12%), 제주(-0.07%), 강원(-0.11%), 부산(-0.06%) 등지도 하락세를 이어갔다.한편, 전국 아파트 전셋값 역시 0.03% 하락하며 지난주(-0.01%)보다 낙폭이 커졌다. /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9·13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과 경기 지역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던 일부 지역의 아파트값이 내림세로 돌아서며 부동산 대책 효과가 현실화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강남구 일대의 모습. /연합뉴스
2018-11-01 이상훈
지난해 말 기준 국내 개인 토지 소유자는 1천690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내 전체 5천178만명(주민등록인구) 중 32.6%인 1천690만명이 토지를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2년 1천532만명에 비해 10.3% 증가한 수치다.또 상위 50만명의 소유 비율은 1.3%p 감소한 53.9%로 나타났다.연령대별로 60대가 1만2천512㎢(26.6%), 50대는 1만1천916㎢(25.4%), 70대 8천954㎢(19.1%) 순으로 토지를 많이 소유하고 있고, 20세 미만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도 122㎢(0.3%)인 것으로 집계됐다.특히 개인소유 토지의 35.2%를 수도권 거주자가 소유하는 것으로 파악됐다.수도권 외에 경상권 1만3천204㎢(28.1%), 전라권 7천671㎢(16.4%), 충청권 6천92㎢(13%), 강원권 2천682㎢(5.7%), 제주권 725㎢(1.5%) 순이었다.토지의 소재지 기준 관내거주 비율은 서울 토지의 81.6%가 서울시에 거주하는 사람이 소유하고 있으며, 부산은 76%, 대구는 72.9%에 달했다. 반면, 세종은 20.0%로 외지인의 토지소유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또한 23만4천개의 법인이 6천849㎢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으며, 비법인의 경우 약 22만개의 종중, 종교단체, 기타단체가 7천802㎢의 토지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토지거래 회전율을 보면 세종시 3.7%, 전라남도 3.0%, 경기도 2.9% 순으로 높았다.반면 서울은 0.5%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회전율을 기록했다.용도지역별로는 농림지역이 49.0%인 4만9천22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관리지역 2만3천688㎢(23.6%), 녹지지역 1만1천433㎢(11.4%) 순이며, 주거지역은 2.3%인 2천348㎢로 나타났으며, 지목별로는 임야가 6만3천834㎢(63.6%), 농경지는 2만56㎢(20.0%), 공공용지는 9천981㎢(9.9%), 대지는 3천94㎢(3.1%)로 조사됐다.한편, 이날 국토부는 작년 12월 말 기준 토지·임야대장에 등재된 지적전산자료와 주민등록전산자료를 연계해 토지소유현황 통계를 작성, 공표했다.이 통계는 부동산 정책의 근간이 되는 토지소유 구조를 파악하고 자원배분의 형평성 문제를 진단하고자 생산하는 통계 자료다./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
2018-11-01 이상훈
최근 부동산 규제 강화로 '똘똘한 한 채'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 침체기에는 아파트값 하락이 더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30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2008~2013년 부동산 침체기 당시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서울 -10.0%, 경기 -14.0%, 인천 -3.1% 등 평균 11.1% 하락했다.특히 서울의 경우 '똘똘한 지역'으로 분류되는 강남구의 하락률이 19.0%로 가장 컸으며, 양천구 -18.6%, 송파구 -18.1%, 강동구 -15.5% 등이 뒤를 이었다.반면 중랑구(10.3%)와 서대문구(3.3%), 동대문구(2.9%), 은평구(2.7%) 등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다고 여겨진 강북지역은 침체기에도 상승했다.이런 분위기는 경기 지역도 마찬가지였다.서울과 가까운 용인(-26.2%), 과천(-24.8%), 성남(-24.7%), 김포(-22.2%), 고양(-22.2%), 파주(-21.7%), 광주(-20.7%) 순으로 하락 폭이 컸지만, 외곽 지역인 포천(27.7%), 안성(25.1%), 평택(20.3%) 등은 오히려 급등했었다.인천 역시 '인천의 강남'이라고 불리는 연수구의 경우 17.4% 하락했지만, 동구(10.8%), 계양구(8.2%) 등은 올랐다.이처럼 부동산 침체기에는 실수요보다는 투자 수요가 많이 유입된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세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부동산114 관계자는 "최근에는 서울과 서울 인접 지역을 중심으로 과열 양상이 나타난 만큼 향후 부동산 가격이 약세로 전환할 때 가격 하락 폭은 더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
2018-10-30 이상훈
9·13대책 등의 여파로 하남 위례신도시 등 주요 단지의 분양이 재차 미뤄지면서 올해 아파트 분양실적이 저조했던 것으로 나타났다.29일 부동산정보서비스 ㈜직방에 따르면 올해 공동주택 분양 예정 물량과 실적을 분석한 결과 올해 1∼9월 분양실적은 21만2천383가구로, 예년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또 이 기간 공동주택 분양실적은 2015년 33만5천612가구, 2016년 32만1천305가구, 지난해 21만8천101가구로 조사됐다.특히 4월(78.2%), 5월(70.2%), 9월(79.2%)은 원래 계획한 물량 대비 실적이 80% 미만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이는 4월 이후 규제지역의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가 적용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이와 함께 4, 5월은 북미 정상회담, 지방선거가 있었고 정부의 '무등록 분양대행업체의 분양대행 업무 금지'에 따라 예정된 분양물량 중 상당수가 연기됐다. 이어 지난달에는 9·13 대책과 추석 연휴가 끼어 분양 예정 물량이 대거 미뤄진 바 있다.지역별로는 올해 1만 가구 이상 분양하는 지역 중 서울(64%), 경기(83%), 부산(71%)이 예정 물량 대비 적은 분양실적을 보였다.이들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고분양가 관리지역으로 지정한 곳으로, 최근 HUG는 올해 하반기 분양 예정이던 하남 위례신도시와 성남 판교 대장지구, 과천 내 건설사들에 분양보증 연기를 통보했다.무주택 실수요자에게 신규 주택을 우선 공급하기로 한 9·13대책을 담은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개정안이 다음달 말께 시행되는 만큼 법 시행 이후에 분양하라는 이유에서다.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HUG의 분양 연기 통보로 4분기 분양도 예정대로 진행이 어렵게 되면서 올해 분양시장은 낮은 실적을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올해 1~9월 지역별 분양예정물량 분양실적 누적비교(단위:호)./㈜직방 제공
2018-10-29 이상훈
남북관계 개선 기대감으로 파주와 강원도 고성 등 접경지역 땅값이 가파르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2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전국 땅값이 3.33% 상승, 17개 시·도의 땅값이 모두 상승한 가운데 세종(5.42%), 부산(4.51%), 서울(4.30%), 제주(4.08%), 대구(3.54%) 순으로 오름폭이 컸다.이어 수도권(3.64%)에서는 서울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으나 경기(3.20%)와 인천(2.42%)은 평균보다 낮았다.또 지방(2.80%)은 세종, 부산, 제주, 대구, 광주(3.50%) 등 5개 시·도는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특히 시·군·구별로는 경기 파주시(8.14%)가 가장 많이 올랐다.이는 광역급행철도(GTX) A노선, 지하철 3호선 연장 및 남북관계 개선 기대감에 따른 투자수요 증가로 땅값이 많이 오른 것으로 분석된다.이외에 강원 고성군(6.51%)과 서울 용산구(6.50%), 부산 해운대구(6.07%), 서울 동작구(6.05%)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고성 지역의 경우 남북교류 기대감으로 제진역 등 접경지역에 대한 수요가 지속해서 높았고 해안가 인근 전원주택 수요도 높아 땅값이 많이 상승했다.반면, 조선업 등 지역 경제가 침체한 울산 동구(-2.34%), 전북 군산시(-1.02%), 경남 창원성산구(-0.39%)는 하락했고 경남 창원진해구(0.24%), 경남 거제시(0.32%)는 상대적으로 낮게 상승했다.용도지역별로는 주거(3.75%), 계획관리(3.30%), 상업(3.16%), 농림(3.16%), 녹지(2.73%), 생산관리(2.72%)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이용별로는 주거용(3.64%), 상업용(3.40%), 전(3.14%), 답(3.03%), 임야(2.35%), 공장용지(2.04%) 순으로 높았다.올해 3분기 누계 전체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241만2천필지(1천550.6㎢, 서울 면적의 약 2.6배)로 집계됐다. 거래량은 분양권 거래가 작년 동기 대비 증가했음에도 지역 경기 침체로 부산, 울산, 경남 등지의 매매거래가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소폭 줄었다. 시도별로 토지 거래량은 광주(11.4%), 경기(9.7%), 전북(8.1%), 대전(7.7%) 등은 증가했고, 경남(-24.0%), 부산(-23.1%) 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
2018-10-26 이상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