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8월 서울 25개구의 단독(다가구)주택과 연립다세대 주택의 전·월세 거래가 감소한 가운데, 강남 3구에서는 평균 원룸 전세보증금이 2억원 선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 건수는 줄었지만 전세보증금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를 골자로 한 새 임대차법이 시행된 이후 불안해진 집주인의 심리가 전세가 상승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22일 국내 부동산 플랫폼 다방이 발표한 8월 서울 단독·연립·다세대주택의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자료를 보면 전월세 거래량은 총 1만4천183건으로 전달보다 21.2% 줄었다.전월세거래는 서울 25개구에서 모두 줄었다. 특히 강동, 성북, 성동, 송파, 영등포구에서 거래량이 24~34%가량 급감했다.보증금은 상승했다. 면적별 평균 전세보증금은 전용면적 30㎡ 이하 원룸은 1억6천246만원으로 전달 대비 321만원(2.1%) 올랐다. 전·월세 거래량은 꾸준히 감소하는 데 비해 전세보증금은 올해 1월부터 7개월 연속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이다.전세보증금이 가장 높은 구는 서초구로 전용 30㎡ 이하 전세보증금이 2억3천875만원에 달했다. 이어 강남(2억3천313만원), 송파(2억614만원원), 강서(1억9천495만원), 양천구(1억8천639만원) 순으로 높았다.특히 송파구는 7월보다 전세보증금이 1천901만원(10.2%)이나 상승해 서초, 강남, 송파 등 강남 3구 평균 원룸 전세보증금이 2억원대를 넘게 됐다.다방 관계자는 "아파트 시장 규제 여파로 주목받았던 단독·연립·다세대 주택 시장이 코로나19 재확산에 다시 거래량이 모두 감소하고 있으나 전세보증금은 지속해서 오르고 있다"며 "강서, 강동구에서도 평균 전세보증금이 1억원 후반대를 형성하고 있다. 집주인들의 불안 심리가 전세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김명래기자 problema@biz-m.kr2020년 8월 서울 단독·다가구·다세대·연립 면적별 평균 전세보증금 표. /다방 제공
2020-09-22 김명래
올해 초 신분당선 연장선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예타) 통과 후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서 최대어로 꼽혔던 호매실지구가 최근 대형 개발 호재인 '서수원 종합병원' 건축허가 통과 소식에도 싸늘한 기운이 감지되고 있다.정부의 강력한 투기 억제 정책에 수원지역 부동산시장이 꽁꽁 묶이면서, 개발 호재에도 시장이 좀처럼 반응을 보이지 못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수원권 종합병원의 설립을 추진 중인 의료법인 덕산의료재단은 지난 2018년 9월 한국농어촌공사가 공급하는 고색2지구 토지 중 도시지원시설용지에 대한 입찰에 참여해 최종 낙찰자로 선정되면서 사업을 본격화하기 시작했다.고색2지구는 수원시가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해 추진 중인 15만 5천여㎡ 규모의 개발지구로, 기존 구시가지와 호매실·봉담 등 신시가지 사이에 위치해 부동산 시장의 주목을 받아왔다. 이보다 앞서 수원시는 같은 해 3월 덕산의료재단과 해당 지역 주민들의 숙원인 종합병원 건립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서수원 지역 종합병원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는가 하면 TF팀을 구성하는 등 사업에 의욕을 보여왔다. 덕산의료재단은 지난해 9월 수원시에 종합병원 건립사업 심의를 요청했고, 수원시는 같은 해 교통영향평가와 경관·건축 계획을 통합 심의하는 공동심의위원회를 열어 심의안을 조건부 의결했다. 이처럼 수원시의 전폭적인 지원 끝에 지난달 28일 건축허가를 받으며 착공 전 모든 행정절차를 1년 만에 마무리 지었다.서수원 종합병원은 수원시 권선구 고색동 894의 27 일원에 연면적 9만3천770㎡, 지하 4층, 지상 10층, 총 636병상 규모로 조성된다. 수원 지역에서 병상 수 기준으로 아주대학교병원(1천172병상),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888병상)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다. 덕산의료재단은 2021년 5월께 1단계 공사(417병상 규모)를 시작해 2024년 3월 개원할 예정이다. 이어 2단계 공사(219병상)에 들어가 2027년 3월께 완공한다는 계획이다.수원시는 서수원 종합병원이 개원하면 서수원 지역 주민들의 편리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하지만 지역 부동산 업계에서는 이 같은 개발 호재가 떠올랐음에도 불구, 부동산 규제로 인해 집값 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앞서 올해 1월 신분당선 호매실 연장(광교~호매실)이 기본계획 고시 이후 14년 만에 예타를 통과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호매실지구 내 아파트값이 1억원 이상씩 급등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보면 1월 12일 5억7천800만원에 팔렸던 '호반베르디움더퍼스트' 전용면적 84㎡는 같은 달 23일 1억9천200만원 오른 7억7천만원에 거래돼 최고가를 갱신했다. '호반베르디움더센트럴' 전용 84㎡도 올해 1월(5억5천만원) 보다 1억2천700만원 오른 6억8천300만원에 2월 거래돼 최고가를 찍었다. '한양수자인파크원' 전용 84㎡ 역시 작년 초 4억원 중반대에 거래되던 시세가 올 3월에는 5억9천만원까지 올라 매매됐다.하지만, 이런 상승세는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정부가 6·17부동산 대책을 통해 수원 전역을 '투기과열지구'로 묶으면서, 이후로는 역대 최고가 기록을 넘지 못하고 제자리걸음만 걷고 있다. 실제 이들 단지의 8월 실거래가를 보면 호반베르디움더퍼스트 7억원, 호반베르디움더센트럴 6억4천900만원, 한양수자인파크원 5억7천만원에 거래됐다. 상황이 이렇자 개발 호재에 대한 기대감 또한 낮아지고 있다. 호매실지구 내 한 공인중개사사무소 대표는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따른 대출규제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코로나19 재확산 등으로 거래 자체가 얼어붙었다"며 "당연히 주변에 종합병원이 생기면 긍정적인 영향은 있겠지만,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거나 하지는 않을 것 같다"고 예상했다. 또 다른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도 "서수원 종합병원은 이미 시세에 반영된 부분이어서 착공해도 집값이 오르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신분당선 연장선 예타 통과 소식에 한 번 급등한 이후 현재 단지 대부분이 신고가 보다 떨어지는 등 전반적으로 집값 오름세가 주춤하다. 이런 분위기는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반면 서수원 종합병원 착공 소식을 기다렸던 지역 주민들 사이에선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고 있다. 한양수자인 파크원 입주자대표회의 김선진 회장은 "그간 소외됐던 서수원지역에 대형 종합병원이 생기는 것만으로도 큰 호재"라며 "부동산 가격을 떠나 주민들이 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덕산의료재단에서 제대로 된 종합병원 건립을 위해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이상훈기자 sh2018@biz-m.kr지하 4층, 지상 10층, 총 636병상 규모의 '서수원 종합병원'이 최근 건축허가를 통과했다. 사진은 병원이 조성될 부지. 2020.9.22 /이상훈기자 sh2018@biz-m.kr서수원 종합병원 조감도./수원시 제공지난달 전용 84㎡가 5억7천만원에 거래된 한양수자인파크원 단지. 2020.9.22 /이상훈기자 sh2018@biz-m.kr
2020-09-22 이상훈
"조두순 아내가 산다는 거짓 소문 때문에 얼마 전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안내 방송하고 난리였습니다." 16일 안산시 고잔동의 한 아파트 단지 내 부동산 중개업소에서 만난 A대표는 "옆집에 흉악범이 있다는 생각만 해도 치가 떨린다. 애들 키우는 나 같아도 불안해서 못 살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최근 조두순이 12월 출소 후 아내가 있는 안산시로 돌아갈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지자 해당 지역이 공포의 도가니에 휩싸였다. 아동을 성폭행한 혐의로 포항교도소에 수감 중인 조두순은 해당 사건을 포함해 모두 18건의 범죄를 저지른 인물이기 때문이다. A씨는 "지역 맘 카페에 조두순 아내가 우리 아파트에 산다는 글이 올라온 후부터 동네가 순식간에 음산한 분위기로 바뀌었다"며 "100% 사실이 아닌데도 포털사이트 연관 검색어로 단지명이 뜬다. 가뜩이나 시장 분위기가 안 좋은데 집값이 더 내려갈까 걱정"이라며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여성가족부는 '성범죄자 알림e' 사이트를 통해 지역별 성범죄자의 거주지, 이름, 사진 등 신상정보를 공개하고 있다. 또 성범죄자가 사는 읍·면·동의 만 19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와, 유치원·어린이집 등에 '성범죄자 우편 고지'를 한다. 따라서 조두순이 안산시 단원구로 돌아올 경우 그 내용이 공개돼 자칫 해당 지역이 '조두순 동네'로 낙인찍힐 가능성이 높다.해당 지역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은 아동 성범죄자가 사는 동네로 소문날 경우 부동산 거래 위축으로 이어져 집값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원곡동의 한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안산 지역 집값이 조두순 때문에 전제적으로 떨어지는 일은 없겠지만, 조두순이 사는 곳 주변은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특히 유치원이나 학교가 있다면 거래가 끊기면서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고 말했다.조두순의 아내가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진 선부동의 B아파트 단지 앞에서 만난 한 40대 여성은 "(조두순 아내에 대해)이곳에 사는지는 모르겠다"면서도 "흉악범보다 더 나쁜 사람이 아동 성범죄자다. 만약 조두순이 이곳으로 온다면 무슨 수를 써서라도 막을 것"이라고 말하며 발길을 돌렸다. 주변 부동산 중개업소에서도 우려 섞인 목소리가 터져 나온다. 선부동 C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아직 D단지에 사는 걸로 아는데 이사를 했다는 건 오늘 처음 들었다"며 "아파트는 좀 오래됐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지하철역도 가까워 그동안 거래가 꾸준했는데 조두순 이야기가 나오면서 앞으로 어떻게 될지 걱정이 앞선다"고 우려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보면 D단지는 올해 1월부터 이달까지 70건 가까이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안산시는 조두순 출소에 따른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거주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거지와 기타 범죄 취약지 등에 방범 카메라 211대를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며, 법무부에 아동 대상 성범죄 사범에 대한 '보호수용법' 입법 요청 서한문을 발송했다.윤화섭 안산시장은 전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조두순이 오면 안산을 떠나겠다, 어떻게 불안해서 사느냐는 전화가 3천600통 정도가 왔다"며 "조두순이라는 범죄자가, 피해자가 사는 곳에 거주하는 것, 그 자체가 공포"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이상훈기자 sh2018@biz-m.kr조두순 아내가 산다는 거짓 정보로 인해 곤욕을 치르고 있는 안산시 고잔동의 한 아파트 전경./이상훈기자 sh2018@biz-m.kr16일 현재 조두순의 출소를 반대하는 국민청원에 1만7천802명이 동참했다./청와대 홈페이지 캡처조두순의 아내가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진 안산시 선부동 B아파트에 적막감이 감돌고 있다./이상훈기자 sh2018@biz-m.kr
2020-09-16 이상훈
2020-09-11 박소연
경기도 부동산 시장에서 다세대·연립주택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아파트에 집중되면서 실수요자들이 대출 등 비교적 규제에서 자유로운 대세대·연립주택으로 눈길을 돌리는 것으로 분석된다. 11일 경기부동산포털에 따르면 지난 8월 경기 지역 다세대·연립주택 매매거래량은 2천716건인 것으로 집계됐다. 아직 실거래신고기간이 20일가량 남은 것을 고려하면 전년 동월(3천650건) 보다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30일간의 부동산 실거래 신고기한이 끝난 7월 매매량만 봐도 지난해 7월보다 거래량이 크게 늘었다. 올해 7월 도내 다세대·연립주택 매매량은 5천21건으로 전년 7월(3천397건) 대비 47.8%(1천624건)나 증가했다. 다세대·연립주택 매매량은 전년보다 꾸준히 늘고 있다. 올해 1월 3천947건(2019년 1월 2천832건), 2월 5천126건(2천584건), 3월 4천133건(3천495건), 4월 3천882건(3천62건), 5월 5천150건(3천377건), 6월 6천584건(3천305건) 등으로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한 달 평균 거래량은 4천834건이다. 지난해 1월부터 7월까지 평균 거래량은 3천150건에 그친다. 8월 도내 31개 시·군에서 가장 거래량이 많았던 곳은 283건을 기록한 수원시다. 이어 부천(277건), 안산(255건), 성남(233건), 광주(213건) 등이 거래량 200건을 넘겼다. 용인(184건), 광명(133건), 고양(133건건), 안양(130건), 남양주(117건) 등도 거래량 100건 이상을 기록하며 거래량 상위권에 안착했다.도내에서 다세대·연립주택 매매거래량이 많았던 곳들은 최근 아파트값이 오른 곳들이기도 하다. 한국감정원 주간 아파트가격동향조사 시계열 자료를 보면 8월 5주 수원시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는 122.1로 1년 전(101.7)보다 20.4p 상승했다. 부천시(103.5→111.2)는 7.7p, 안산시(89.9→101.5) 11.6p , 성남시(108.2→116.2) 8p, 광주시(96.0→101.0) 5p 올랐다. 이처럼 아파트의 가격이 오르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다세대·연립주택 수요가 증가한 것이다. 한국감정원 주택매매 거래현황을 보면 경기도에서 5월부터 7월까지 거래된 주택거래는 10만7천483건으로 이중 다세대주택과 연립주택 거래가 18.1%(1만9천436건)을 차지했다.수요에 따라 매매가도 오르는 모습이다. 지난달 5월 평균 도내 다세대·연립주택 가격은 1㎡당 350만원으로 전달보다 20만원 올랐다. 2019년 5월(㎡당 315만5천원) 대비 34만5천원 비싸졌다. 다세대·연립주택이 부동산 시장에서 새삼 주목받는 이유는 아파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해 급등한 아파트 가격을 감당하기 어려운 실수요자들이 몰리고 있기 때문이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설명한다. 여기에 대출 규제가 덜한 것도 한몫한다. 6·17 부동산 대책으로 시세가 3억원 이상인 아파트에 대해서는 전세자금대출이 불가능 하지만 다세대·연립주택은 이러한 규제에서 자유롭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전문위원은 "아파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전세값이 급등하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대체재인 다세대·연립주택으로 피난 온 수요자가 많다"면서 "이 같은 현상은 아파트값이 급등한 후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증상"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대출을 받아서 살 수 있는 마땅한 집이 없는 상황에서 내 집을 마련해야겠다는 그런 조급함이 매매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정리했다./윤혜경기자 hyegyung@biz-m.kr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아파트에 집중되면서 다세대·연립주택에 실수요자들이 몰리고 있다. 사진은 인천의 한 다세대·연립주택 단지. /비즈엠DB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다세대와 연립주택에 수요가 몰리면서 가격도 상승하고 있다. 사진은 도내 부동산 중개업소 모습. /비즈엠DB
2020-09-11 윤혜경
임대차 범 시행 등의 영향으로 서울·경기 등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이 57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10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달 7일 기준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0.16%로, 지난주와 같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8월 둘째 주 이후 57주 연속 상승이다.새 임대차 법 시행 직후인 8월 첫째 주에는 0.22%까지 오르며 2015년 11월 첫째 주(0.23%) 이후 4년 9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서울의 경우 7월 말 새 임대차 법 시행과 거주요건 강화 등으로 상대적으로 전세매물 부족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연장에 따른 거래 활동 위축 등으로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고 분석했다.지역별로 서울에서는 교통·학군 등의 영향으로 고가 전세가 많은 강남 4구가 여전히 전셋값 상승을 이끌었다. 특히 강동구(0.15%)는 지난주(0.17%)보다 상승폭은 둔화했지만, 마포구(0.15%→0.15%)와 함께 이번 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경기도 아파트 전셋값 역시 0.21% 상승하며 지난주와 같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8월 첫째 주 0.29%로 5년 4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한 뒤 0.23%(8월2·3주)→0.22%(8월4주)→0.21%(8월5주·9월1주)로 상승률이 둔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전국·서울의 상승률을 웃도는 수준이다.경기도 내에서는 용인 기흥구(0.48%→0.45%)와 수원 권선구(0.61%→0.45%), 광명시(0.44%→0.43%) 등이 가장 높은 상승폭을 이어가고 있다. 반면, 지방의 전셋값 상승률은 0.11%로 지난주(0.12%)보다 소폭 둔화했다. 대전 서구(0.28%→0.28%)와 유성구(0.59%→0.25%), 울산(0.42%→0.42%) 등의 전셋값 불안이 계속됐다.한편,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이번 주 0.01% 올랐으며, 경기·인천은 각각 0.09%, 0.04% 올라 상승세를 이어갔다./김명래기자 problema@biz-m.kr내년 11~12월 1천100가구, 2022년 2천500가구 규모로 사전청약에 들어가는 경기도 하남시 교산지구 일대 모습. /비즈엠DB
2020-09-10 김명래
2020-09-10 박소연
2020-09-10 박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