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0월 수도권 등 전국에서 입주하는 아파트 물량은 총 1만7천865가구로 나타났다.이는 직전 3분기 월평균 입주물량이 3만여 세대인 점을 볼 때 비교적 적은 물량으로, 전월(2만6천681가구)에 비해서도 33%가량 줄어든 수준이다.직방 조사를 보면 내달 전국에서 총 29개 단지가 입주한다. 수도권에서는 14개 단지, 지방은 15개 단지가 집들이를 시작한다. 수도권은 서울 3개 단지, 경기 6개 단지, 인천 5개 단지가 입주한다. 지방은 부산, 경남, 경북 등 영남권 위주로 입주가 진행될 예정이다.수도권은 경기(7천415가구) 위주로 새 아파트 입주가 진행되면서 전월대비 59% 증가해 1만 794가구가 입주한다. 서울은 영등포구에서만 3개 단지가 입주하며 1천921가구, 인천은 송도, 작전동 등에서 1천458가구가 공급된다.주요 단지로는 신길뉴타운 9구역을 재개발해 1천476가구(전용 42~114㎡)로 재탄생한 '힐스테이트클래시안'과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조성된 '그랑시티자이2차'(2천872가구), '작전역서해그랑블'(280가구), '서면아이파크'(2천144가구) 등이다.직방 관계자는 "주택산업연구원조사 결과 전국 입주경기실사지수의 전망치가 2개월 연속 60선(7월 76, 8월 67.5, 9월 69.6)을 보이며 9월 입주 여건 악화가 이어질 것으로 나타났다"며 "최근 코로나19 확산세가 조금씩 진정되고 있긴 하지만 전국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며 새 아파트 입주시장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이어 그는 "코로나 감염 이슈로 집을 보러 오는 수요자들이 줄면서 기존 주택을 비우기 쉽지 않고 잔금을 확보하지 못하는 예정자들이 늘며 입주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있을 수 있다"면서 "또한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입주마케팅이나 사전점검 등이 제한적으로 진행되는 등 부수적인 변수도 뒤따를 것"이라고 덧붙였다./김명래기자 problema@biz-m.kr입주를 앞둔 평택지역 아파트 단지. /비즈엠DB2020년 월별 입주물량 추이./직방 제공
2020-09-28 김명래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B·C노선 정차역인 청량리역과 인접해 교통이 편리한 것은 물론 인근에 명품학군까지 갖췄다고 평받는 제기6구역 재개발사업을 SK건설이 따냈다.28일 SK건설은 서울 동대문구 제기동 120-104번지 일대 '제기 제6구역' 재개발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혔다.해당 사업은 지하3층~지상18층, 7개 동, 423가구 규모의 아파트 및 부대복리시설을 조성하는 프로젝트로 2022년 8월 착공 및 분양예정이다. 입주는 2024년 12월이 목표다.제기6구역은 입지가 우수하다. 지하철 6호선 고려대역이 인근에 있고, 지하철 1호선,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광역철도 강릉선KTX, 경춘선ITX까지 총 5개의 철도노선이 지나는 청량리역도 도보로 이용할 수 있어 교통여건이 매우 우수하다.또 단지 인근에 홍파초, 홍릉초, 삼육초, 정화여중, 서울사대부중·고가 위치했다. 특히 고려대, 성신여대, 경희대, 한국외대, 서울시립대, 카이스트 서울캠퍼스 등 명문대학이 인근에 위치해 명품 학군을 갖추고 있다. 고려대의료원 안암병원, 경희의료원, 가톨릭대 성바오로병원 등 의료시설과 롯데백화점, 대형마트 등이 인접해 생활인프라도 풍부하다.SK건설 관계자는 "서울 제기6구역은 GTX B·C노선 정차역인 청량리역과 홍릉 바이오·의료 클러스트 개발 등 향후 미래가치가 높은 지역"이라며 "SK건설의 풍부한 사업경험과 우수한 시공능력을 통해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아파트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김명래기자 problema@biz-m.kr서울 제기6구역 조감도. /SK건설 제공
2020-09-28 김명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3개 노선이 개통하면 경기도 내 아파트값이 상승하고, 경기 남부와 북부 간 가격 차이도 줄어들 것이란 경기연구원의 조사결과가 나왔다.경기연구원은 도내 아파트값 추정모형을 구축하고, GTX 3개 노선 개통에 따른 아파트 가격변화를 예측해 '경기도 대중교통 교통비용과 주택가격의 관계에 관한 연구: GTX 개통효과를 중심으로'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아파트값 추정모형은 아파트 경과연수와 단지의 세대수, 초등학교까지 거리 등 11개의 독립변수를 사용했고, 독립변수 중 출근 시 '서울시 고용중심지까지 대중교통수단 통행시간'을 핵심변수로 적용했다. 교통분석용 네트워크를 이용해 GTX 개통으로 각 아파트 단지에서 '서울시 고용중심지까지 대중교통 통행시간'을 산정하고, 이를 모형에 적용해 개통에 따른 아파트 가격변화를 추정했다. GTX 3개 노선 개통시 서울시 고용중심지(서울역, 강남역)까지 대중교통 통행시간 변화를 산정한 결과 개선율을 보면 경기 북부가 경기 남부보다 높았으며, 서울시에서 멀리 떨어진 도시가 가까운 도시보다 높았다. 또 GTX 신설선로가 놓인 도시가 기존선로가 놓인 도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GTX C 노선이 통과하는 경기 북부 시군의 대중교통 통행시간 개선율이 두드러져, 동두천 37.4%, 의정부시 24.2%, 양주시 23.6%, 연천군 21.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GTX 노선에서 벗어난 경기 남부의 김포시와 이미 신분당선과 경부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가 놓인 수원시 등은 개선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이와 같은 특성은 아파트 가격 변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됐다고 경기연구원 측은 설명했다. 실제 다른 조건이 모두 현재와 비슷하다는 가정하에 GTX 3개 노선 개통에 따른 도내 아파트값 변화를 추정한 결과 아파트값은 평균 12%(㎡당 50만 원) 상승하고, 남부와 북부 간 가격 격차는 감소(경기 남부대비 경기 북부 아파트 가격이 GTX 개통 전 70%에서 개통 후 84%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채만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GTX 개통 효과 극대화에 대해) 경기도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GTX의 조속한 추진이 필요하다"며 "GTX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GTX역의 환승 체계 및 연계 대중교통 노선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상훈기자 sh2018@biz-m.krGTX-A 노선 파주 운정역 공사현장 2020.07.27 /비즈엠DBGTX 공사 현장. /비즈엠DB
2020-09-28 이상훈
경기남·북부 외곽을 연결하는 총 860㎞의 '둘레길'이 조성된다.28일 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에 따르면 도 외곽을 연결하는 860㎞, 60개 코스의 경기 둘레길 조성에 들어간다. 경기 둘레길은 도내 15개 시·군에 걸쳐 있는 걷기 여행길을 하나로 잇는 것이다. 60억5천만원을 들여 단절된 길을 서로 연결한다.우선 연결되는 곳은 북부권이다. 김포~연천~가평 6개 시·군에 걸쳐 344㎞ 길을 올해 연말까지 조성한다. 김포 장릉·대명항·문수산성·애기봉, 연천 군남홍수조절지·신탄리역, 포천 산정호수, 가평 용추계곡이 포함된다.내년까지는 남부권인 양평~안성~부천 구간을 연결한다는 계획이다. 양평 산음자연휴양림, 여주 신륵사, 안성 금광저수지, 평택항, 화성 궁평항·전곡항, 안산 대부도, 시흥 갯골생태공원 등을 경유한다.'함께 걸어 하나 되는'을 경기둘레길 BI로 확정한 경기도는 평화누리길·숲길·물길·갯길 등 각 구간의 지역적 특성을 살린다는 방침이다.경기도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관광객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변화된 관광 트렌드에 맞춰 경기 둘레길을 대표 비대면 관광 상품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윤혜경기자 hyegyung@biz-m.kr경기 둘레길 BI 디자인. /경기도 제공광릉숲 둘레길. /비즈엠DB
2020-09-28 윤혜경
HDC현대산업개발과 롯데건설 컨소시엄이 오는 10월 '반정 아이파크 캐슬 5단지'를 분양한다.이 단지를 포함해 주변에 6천가구 규모의 아이파크 캐슬 브랜드 타운이 조성될 예정이어서 청약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다.반정 아이파크 캐슬 5단지는 화성시 반정동 621의 87 일원에 지하 3층, 지상 19층, 20개 동, 총 1천378가구(전용면적 59~156㎡) 규모로 조성된다.전용면적별로는 △59㎡ 36가구 △75㎡ 570가구 △84㎡ 689가구 △103㎡ 2가구 △105㎡ 64가구 △112㎡ 2가구 △119㎡ 3가구 △121㎡ 3가구 △130㎡ 7가구 △156㎡ 2가구 등으로 실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중소형이 90% 이상을 차지한다. 조정대상지역에 속해 전용 84㎡ 이하는 가점제, 103㎡ 이상은 추첨제 물량이다. 남향 위주의 단지 배치로 채광 효과를 높였으며, 알파룸과 드레스룸 등 공간 활용도를 높인 특화설계가 적용된다.눈길을 끄는 부분은 지난해 초 입주를 마친 영통 아이파크 캐슬 1·2단지(2천945가구)와 올해 7월 분양한 영통 아이파크 캐슬 3단지(664가구), 연내 공급 예정인 4단지(986가구)까지 포함하면 미니신도시급 브랜드 타운이 조성된다는 것이다.단지 2㎞ 내 분당선 망포역과 매탄권선역을 통해 강남권까지 환승 없이 이용이 가능하고, 수원역도 10분대면 이동할 수 있다. 삼성전자 본사가 위치한 삼성디지털시티 수원사업장이 2㎞ 정도 떨어져 있어 직주근접과 배후수요도 기대된다. 단지 앞에 초등학교가 신설될 계획이며, 잠원중학교와 망포고등학교도 도보 통학이 가능하다. 도보 15분 거리에 이마트트레이더스와 롯데마트, NC백화점 등 다양한 생활 편의시설을 갖췄다. 잔디광장과 어린이 숲 놀이터 등이 조성된 4만5천여㎡의 글빛누리공원과 지성공원, 잠원공원 등이 인접해 주변 환경도 쾌적하단 평가를 받는다.분양 관계자는 "수원시 영통생활권에 속해 있으면서도 행정구역 상으로는 화성시이다 보니 한층 완화된 규제가 적용돼 인근 지역민들의 높은 관심이 기대된다"라며 "도시개발사업을 통해 조성되는 만큼 주변으로 잘 정돈된 인프라를 누릴 수 있는데다 향후 당 사업지를 포함해 2만여 가구에 달하는 대규모 주거타운 조성에 따른 미래가치도 기대해볼 만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견본주택은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사이버 견본주택으로 대체되며 10월 공개될 예정이다. /이상훈기자 sh2018@biz-m.kr'반정 아이파크 캐슬 5단지' 투시도./HDC현대산업개발 제공
2020-09-25 이상훈
아파트 매매가격이 분양가의 2배 이상 뛰어 오른 수원시 영통구 망포동 '영통아이파크캐슬' 인근에 새로운 아파트가 들어선다. 이번엔 롯데건설 '영통 롯데캐슬 엘클래스'로, 다음 달부터 본격적인 분양에 들어간다. 롯데건설은 오는 10월 중 영통 롯데캐슬 엘클래스를 분양한다고 25일 밝혔다. 해당 단지는 지상 최고 20층·17개 동·1천251가구 규모이며 전용면적은 79~107㎡로 구성된다.영통 롯데캐슬 엘클래스는 1블록과 2블록으로 나뉜다. 1블록은 최고 20층·8개동·642가구이며, 2블록은 최고 17층·9개동·609가구다.전용면적 별 공급물량은 △79㎡ 31가구 △84㎡A 549가구 △84㎡B 116가구 △84㎡C 251가구 △84㎡D 178가구 △107㎡A 77가구 △107㎡B 49가구다. 전용 85㎡ 이하인 중소형이 전체의 90%가량을 차지한다.화성시 반정동 일부 지역은 올해 7월 시행된 경기도 수원시와 화성시의 관할구역 변경에 따라 수원시 영통구로 행정구역이 변경됐다. 이에 따라 영통 롯데캐슬 엘클래스는 경기 남부권에서 주거선호도가 높은 영통 생활권에 속하게 돼 기존의 불편함을 겪었던 학교 배정이나 공공기관 이용 등의 문제로부터 자유롭게 됐다.특히 이 일대는 망포3, 4지구, 신동지구 등이 밀집돼 있어 입주를 마친 약 7천가구를 비롯해 총 1만여 가구에 이르는 대형 건설사 브랜드 타운이 조성될 예정이다.해당 단지는 교통망부터 편의시설, 교육환경까지 고루 갖췄다. 교통부터 보면 단지 인근에 분당·수인선인 매탄권선역과 망포역이 있어 판교역과 강남역까지 각각 40분대, 50분대 주파 가능하다. 여기에 덕영대로, 1번 국도 등을 통해 수원시 전역으로의 접근이 수월하다. 또 이마트 트레이더스를 도보로 이용 가능하며, 롯데마트 권선점, 이마트 수원점, 홈플러스 수원영통점, CGV동수원점 등이 인접해 쇼핑과 문화시설을 편히 이용할 수 있다.교육환경도 우수하다. 단지 옆에 초·중학교 부지가 계획되어 있으며 잠원중, 망포중, 망포고 등 영통 명문학군을 도보로 통학할 수 있다. 또한 망포역 주변의 전문학원가 이용도 편리하다.분양 관계자는 "영통 롯데캐슬 엘클래스는 경기 남부에서도 주거선호도가 높은 수원시 영통구에 위치해 풍부한 생활 인프라와 명문학군, 직주근접 등 우수한 입지여건을 누릴 수 있다"며 "특히 대규모 브랜드타운으로 조성되고 있는 망포동 일대에 롯데캐슬 단독 브랜드 대단지로 들어서는 만큼 수요자들의 높은 관심이 기대된다"고 말했다./윤혜경기자 hyegyung@biz-m.kr영통 롯데캐슬 엘클래스 주경 조감도. /롯데건설 제공
2020-09-25 윤혜경
서울의 아파트 전셋값이 전주대비 0.5%나 오르며 5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25일 KB부동산 리브온이 발표한 주간KB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주간 상승률 기준으로 서울의 전셋값 상승률이 5주째 0.40%~0.50%의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전국의 전셋값도 지난주보다 0.25% 상승해 5주째 0.20%대를 유지했다. 지역별로 수도권(0.36%)과 5개 광역시(0.17%), 기타 지방(0.10%) 모두 올랐다. 서울은 지난주 상승률(0.42%)보다 확대된 0.50%를 기록했고, 경기(0.33%)도 전주대비 상승했다. 5개 광역시에서는 대전(0.45%), 부산(0.15%), 대구(0.12%), 울산(0.11%), 광주(0.06%)가 상승을 기록했다.서울은 성동구(0.98%)와 노원구(0.97%), 은평구(0.94%), 동작구(0.75%), 종로구(0.69%)가 상승률이 높았고, 경기에서는 광명(1.80%), 김포(1.08%), 남양주(0.60%), 구리(0.56%), 고양 일산동구(0.55%) 등이 높게 상승했다. 인천에서는 중구(0.28%), 서구(0.26%), 연수구(0.20%), 부평구(0.10%), 계양구(0.05%)가 올랐다.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전문위원은 "본격적인 가을 이사철을 맞아 전셋값이 치솟고 있다"며 "전세를 구하려고 해도 매물이 아예 제로인 단지도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임대차3법이 '찻잔속 태풍'이 될지, '구조적 전세난의 시발점'이 될지 가을 이사철이 풍향계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한편, 서울(0.28%)과 경기(0.25%) 등 수도권(0.24%) 아파트 매매가격도 전주대비 상승했다./김명래기자 problema@biz-m.kr지역별 아파트전셋값 주간변동률./KB부동산 리브온 제공
2020-09-25 김명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