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 우정읍에 조성하려던 산업폐수처리장인 '화산리 도시계획시설(수질오염방지시설) 부지 조성 사업'이 주민 반발로 무산됐다.사업자 (주)씨케이원은 해당 사업의 소규모환경영향평가 협의 완료를 앞둔 지난 3월 22일 협의를 돌연 자진 취하했다. 화성시에 내놓은 도시관리계획 입안도 같이 취소했다고 환경운동연합측은 18일 밝혔다.환경연합측은 이날 한강유역환경청 측에서 화산리 수질오염방지시설 조성 사업이 환경영향상 부적절하다고 결론지었다고 주장했다. 폐수처리장이 수질 및 생물다양성·서식지 보전 항목뿐 아니라 건강 등에도 영향을 크게 미치며, 특히 SRF(고형폐기물연료)를 태워 에너지를 공급하므로 대기질상 화성시 어디에도 설치하기 어려운 시설이라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검토 결과를 알고 사업자측이 '사업 부동의' 통보를 피하기 위해 자진 취하했다는 것이다.화산리 수질오염방지시설은 화성시 우정읍 버들로191번길 71(화산리 산22-1번지) 일원 2만9천862㎡의 땅에 1일 최대 480㎥의 폐수를 받아 처리하는 폐수처리장이다.유입되는 폐수로는 산성폐수, 세관탈청폐수, 알칼리성폐수, 세관중화폐수, 시안(CN)계폐수, 크롬(Cr)계폐수, 도금혼합폐수, 절삭유폐수, 폐유함유폐수, 세관세척폐수, 혼합일반폐수, 기타일반폐수, 고농도폐수, 실험실폐수, 침출수폐수이며 차량으로 운반해 폐수저장시설에 저장 또는 각종 처리를 한 뒤 화성호 유입하천인 어은천에 방류할 예정이었다.또한 폐수 처리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를 SRF(고형폐기물연료; 플라스틱·비닐·폐가구 등을 재활용해 만든 연료)를 태워 공급할 예정이었다.앞서 삼괴지역폐기물처리시설반대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폐수처리장이 농경지 가운데 입지하므로 농경지 및 농작물 오염이 불가피하며 지정폐기물과 다를 바 없는 유해물질 함유 폐수를 처리 후 방류하게 되면 어은천과 화성호가 파괴될 수밖에 없는 점 등을 들어 반대해 왔다.화성환경운동연합 역시 생태·환경이 우수한 화성호와 바다의 오염이 시민의 삶에 끼칠 환경 안전상 악영향이 클 것을 우려해 대책위를 지원해 왔다. 화성/김학석기자 marskim@kyeongin.com
2018-04-18 김학석
오산시가 지속적인 인구 증가와 행정수요 확대에 따라 총 340억원을 들여 시청 별관과 시의회 독립 청사를 건립키로 했다.8일 오산시에 따르면 현 청사(오산동 915)의 뒤쪽 주차장 부지를 활용, 연면적 1만5천㎡(지하 1층·지상 3층) 규모의 별관을 건립할 예정이다. 예산은 260억원이 책정됐다. 이와 함께 시는 청사 정면 서편에 총 80억원을 들여 연면적 3천300㎡(지하 1층·지상 4층) 규모의 시의회 독립 청사도 짓기로 했다.시는 이 같은 계획을 담은 2018년도 제1차 수시분 공유재산 관리계획 동의안을 지난달 '제231회 오산시의회(임시회)'에 제출해 의회 동의를 받았다.앞서 시는 지난 2016년 8월부터 시청 별관 건립 계획을 수립하고 중기지방재정계획 반영, 경기도 투자심사 의뢰 등 관련 업무를 꾸준히 추진해 왔다. 시는 이달 중 청사 설계용역 및 의회청사 설계공모를 거친 뒤 내년에 착공, 오는 2020년에 공사를 완료할 계획이다.현 시청사는 지난 2001년 8월 인구 10만명 기준으로 건립된 후 현재 인구가 21만명을 넘어서 행정수요 증가, 사무실 부족, 주차장 협소 등으로 청사 확대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또 시청 5층에 위치한 시의회의 경우 도내 비슷한 규모의 시·군(김포, 이천, 하남, 양주) 중 유일하게 독립청사가 없는 데다 의회사무과, 의원사무실, 민원인 접견실 면적 부족 및 의원정수 증원 예상 등을 고려해 독립 청사를 건립키로 결정했다.시 관계자는 "청사 별관과 의회 독립 청사가 건립되면 시민들에게 좀 더 나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산/김선회기자 ksh@kyeongin.com현 오산시청 부지에 시청 별관과 시의회 독립청사가 건립된다. 가운데 현 청사 오른쪽이 가상으로 그린 시청 별관(지상 3층), 왼쪽이 시의회 청사(지상 4층)가 들어설 부지다. /오산시 제공
2018-04-08 김선회
LH(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지역본부는 30일 오산 지역에서 오산청학, 오산세교2(A-7블록), 오산청호 행복주택 3개 단지 총 1천762세대를 동시에 공급한다고 29일 밝혔다.이번에 모집하는 행복주택부터는 만 19세 이상 만 39세 이하인 청년이 새로운 입주대상으로 추가되며 신혼부부의 소득활동요건이 없어지고 혼인합산기간도 5년에서 7년 이내로 완화돼 적용된다.행복주택 3개 단지는 오산역을 중심으로 직선거리 2㎞ 이내 도심 인근에 있으며, 학교와 산업단지 등과 가까운 곳에 있다.오산청학 행복주택은 오산대학교 후문에 인접하고 있으며 전용면적 16㎡ 38세대, 26㎡ 78세대, 36㎡ 62세대(총 178세대)로 구성됐으며, 오산세교2(A-7블록) 행복주택은 총 1천136세대 대단지로 전용면적 16㎡ 440세대, 26㎡ 278세대, 36㎡ 418세대로 구성됐다.오산청호 행복주택은 전용면적 16㎡ 150세대, 26㎡ 90세대, 36㎡ 208세대(총 448세대)로 조성된다.임대조건은 공급계층별로 달리 적용되며 주변 시세보다 20~40% 저렴한 수준으로 공급된다. 임대보증금과 월 임대료는 상호전환이 가능해 입주자 형편에 따라 한도 범위 내에서 보증금을 올리고 월 임대료를 낮추거나 보증금을 낮추고 월 임대료를 올릴 수 있다. 신청접수는 오는 4월 16~20일까지 인터넷 PC(LH 청약센터 https://apply.lh.or.kr) 또는 모바일 청약(App명칭: LH청약센터)으로 가능하며, 3개 단지 중 1개 단지를 선택해 청약할 수 있다. 문의 : LH 콜센터(1600-1004) /최규원기자 mirzstar@kyeongin.com오산청호 행복주택 조감도. /LH 경기지역본부 제공
2018-03-29 최규원
연면적 9만7602㎡ 전시장등 갖춰센터 개관땐 일자리 3826개 창출생산유발 효과 4561억원 달할 듯‘시민 마이스터즈’ 홍보활동 도와
경기 남부 마이스(MICE) 산업의 허브 역할을 할 '수원컨벤션센터' 개관이 1년 앞으로 다가왔다. 마이스 산업은 경제적 파급효과가 커 '굴뚝 없는 황금산업'으로 불리는 만큼 시민들의 기대감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지난 2016년 9월께 공사를 시작한 센터의 공정률은 현재 38%다. 오는 4월 안에 철골·골조 공사를 완료한 뒤, 6월까지 건축물 외부공사를 마칠 예정이다. 또, 12월까지 내·외부 마감 공사를 하고, 내년 3월께 개관할 계획이다. 광교지구 택지개발사업구역 내 건립되는 센터는 지하 2층, 지상 5층, 대지면적 5만 5㎡, 연면적 9만7천602㎡ 규모로 전시장, 컨벤션홀 등이 들어선다.백화점, 호텔, 쇼핑몰 등 부대 지원시설 건립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지하 7층·지상 12층 규모 백화점은 2020년 1월, 지하 5층·지상 21층 규모 호텔은 2019년 10월, 지하 5층·지상 47층 규모 수족관·업무시설은 2020년 10월 완공할 예정이다.■ 일자리 3천826개, 생산·부가가치 유발 효과 6천368억원센터는 수원시 경제 활성화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지난 2015년 '수원컨벤션센터 건립 타당성 조사 및 기본구상 용역'을 한 바 있다.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센터 개관으로 3천826개 일자리가 창출되고, 생산유발 효과는 4천561억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1천807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센터가 경기 남부 마이스 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마이스 산업은 연관 산업이 다양하고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새로운 산업군으로 떠오르고 있다. 관련 산업 파급 효과를 고려하면 실제 경제적 효과는 보고서가 제시한 수치보다 훨씬 클 것으로 보인다.마이스는 ▲Meeting(기업회의) ▲Incentive travel(포상관광) ▲Convention(국제회의) ▲Exhibition(전시회)의 머리글자를 딴 용어로 각종 회의·전시회 개최, 컨벤션센터 운영, 관광 산업 등을 중심으로 하는 융복합산업을 뜻한다.시는 센터 건립을 시작으로 세계적인 마이스 복합단지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삼성반도체, 수원화성, 광교호수공원 등 다양한 자원을 활용한 차별성 있는 마이스 상품 개발을 구상하고 있다. 센터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준비도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11월에는 아주대의료원, 가톨릭대성빈센트병원과 '수원시 의학연계 마이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의학분야 마이스(MICE) 산업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시와 두 병원은 의학분야 '컨벤션 브랜드'를 발굴·육성하고, 마이스 산업 활성화를 위해 의학연계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할 예정이다.■ 시민마이스터즈·수원마이스얼라이언스, 마이스 도시 수원 알린다지난해 12월에는 '수원컨벤션센터 시민마이스터즈·수원마이스얼라이언스' 발대식을 열었다. 마이스터즈(MICEters)는 '마이스'(MICE)와 '서포터즈'(Supporters, 후원자)를 조합해 만든 신조어로 '마이스산업 후원자'를 뜻한다.마이스터즈는 마이스 산업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지역사회에서 봉사 활동을 하게 된다. 관광·마이스 관련 온·오프라인 행사 홍보·운영 활동도 한다. 마이스터즈 219명을 단계적으로 모집하고 있다. 현재까지 시민 마이스터즈 76명을 모집했다. 마이스 관련 단체·기관·업체 47개사(2018년 3월 현재)로 구성된 수원마이스얼라이언스(MICE Alliance)는 시와 함께 공동 마케팅·홍보 활동을 하며 '경쟁력 있는 마이스 행사 개최도시 수원'을 국내외에 알릴 예정이다.최근에는 '아시아태평양 마이스 비즈니스 페스티벌(APMBF) 2019'를 유치했다. 내년 3월 센터에서 열리는 'APMBF 2019'는 센터 개관을 대외적으로 알리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APMBF는 마이스(MICE) 관계 기관·단체, 지자체·산하기관 공무원, 관련 산업 종사자 등이 참석하는 마이스업계 축제다. /배재흥기자 jhb@kyeongin.com염태영 수원시장이 수원컨벤션센터 공사 현장을 시찰하고 있다. /수원시 제공'수원컨벤션센터 시민마이스터즈·수원마이스얼라이언스' 발대식 참가자들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수원시 제공수원컨벤션센터 조감도. /수원시 제공
2018-03-27 배재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