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공사 "내달출범" 중구에 제안주민 갈등 관련 면밀히 검토 예정인천항만공사가 인천 중구에 항만 관련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자고 제안해 인천 중구 지역 항만 관련 현안이 해결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인천항만공사는 다음 달 출범을 목표로 인천 중구와 협의체 구성을 추진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협의체를 통해 주민과 갈등을 빚는 여러 현안에 대해 중구와 논의하겠다는 게 인천항만공사의 생각이다.인천항만공사는 인천 남항 배후단지(중구 항동 7가 82-7 일원 39만6천㎡)에 중고차 물류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는 중고차 판매·경매장, 검사장, 정비장, 자원재생센터, 주차장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그러나 주민들과 중구는 자동차 물류 클러스터로 교통난과 환경 피해가 심각해질 것으로 반발하면서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인천항만공사가 추진하는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도 주민들과 이견이 있다. 내항 1·8부두 내 폐창고를 문화 혁신공간으로 조성하는 '상상플랫폼' 사업의 운영사업자로 지난달 CJ CGV가 선정됐는데, 지역 시민단체는 "대기업이 상업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올바른 도시재생사업이 아니고 내항 재개발 전체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인천항만공사는 앞으로 협의체 회의를 정례화시켜 현재 갈등을 빚고 있는 사안은 물론 인천항과 중구 지역 발전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만들 계획이다.일각에서는 현안 대부분이 주민의견이 엇갈리는 사안인 만큼, 중구와 협의체만으론 역부족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미 인천항 현안 논의를 위해 인천시, 인천항만공사,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이 만든 '인천항 고위정책협의회'가 운영되고 있지만, 현안 해결이 아닌 기관별 입장만 확인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중구도 인천항만공사의 제안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중구 관계자는 "협의체 구성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도 있겠지만, 주민 현안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
2018-08-26 김주엽
市, 현덕·안중일원 환지계획 인가조합 302억분담금 납부 사업 탄력평택 화양지구 도시개발사업(사업시행자·평택 화양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이 지난 2008년 구역 지정 이후 11년만에 환지계획이 인가돼 본격적인 개발이 이뤄질 전망이다. → 위치도 참조23일 평택시에 따르면 시는 그동안 남·북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 된 서부지역인 현덕면 화양리, 운정리, 도대리, 안중읍 현화리 일원 279만여㎡ 규모의 평택 화양지구 도시개발사업 환지계획에 대해 승인했다. 화양지구 도시개발사업은 주거용지 116만1천948㎡(단독 및 공동주택, 준주거, 근린생활시설), 상업용지 7만7천823㎡, 공공시설(도로, 공원 등) 151만6천363㎡, 기타시설 3만5천61㎡ 등으로 구분, 개발된다.화양지구 도시개발사업은 평택 서부권 지역의 신도시 개념을 담고 있고, 평택항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어 그동안 사업 추진에 관심이 집중돼 왔다.이와 관련해 화양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조합장·최선철) 측은 최근 농지전용분담금, 대체산림조성비 등 302억원의 분담금을 모두 납부해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고 있다.정장선 시장은 "이번 환지계획 인가를 계기로 화양지구 도시개발사업이 본격 추진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평택시 균형발전의 한 축을 담당할 이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행정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
2018-08-23 김종호
3만·5만t급 선석 추가 B/C 2.09 인천항만公 사업타당성 용역 결과인천항 신국제여객부두 3단계 조성 사업이 경제적 타당성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항만공사는 '인천항 신국제여객부두 3단계 확장사업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 결과, 신국제여객부두 3단계 조성의 편익비용(B/C)이 2.09로 나와 경제성을 입증받았다고 22일 밝혔다.B/C값이 기준치인 1을 넘으면 비용보다 편익이 더 크다는 뜻으로, 경제성이 있음을 말한다. 용역 결과를 보면 신국제여객부두 3단계 사업 조성·운영(30년)에는 2천767억원의 비용이 들어가지만, 편익은 4천718억원일 것으로 분석됐다.인천항 신국제여객부두 3단계 사업은 내년 개장 예정인 신국제여객부두에 5만t급과 3만t급 카페리 선석을 추가로 만드는 것이다. 현재 공사 중인 신국제여객부두는 크루즈 전용 선석(22만5천t급) 1개와 카페리 선석(3만t급) 5개, 크루즈·카페리 겸용 선석(15만t급 크루즈, 5만·3만t급 카페리) 1개로 조성될 예정이다. 앞으로 크루즈 기항 횟수가 늘어나면 겸용 선석을 크루즈 전용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카페리 선석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게 인천항만공사 설명이다.용역 보고서는 2025년 인천항을 찾는 크루즈선은 217척이고, 크루즈 방문객은 56만5천297명 달해 카페리 선석이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지난해 인천항을 찾은 크루즈선은 17척, 관광객 수는 3만명에 그쳤다. 하지만 2014년 아시안게임 개최를 전후해서는 2013년 95척(관광객 17만2천400명), 2014년 92척(18만3천900명)이 기항한 바 있다.인천항만공사는 크루즈선 입항 실적 증가 추이에 따라 사업 기간을 정하고,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방침이다.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한중 갈등으로 인천항에 기항하는 크루즈 수가 일시적으로 줄어들었지만, 신국제여객부두가 개장하는 2019년에는 100여 척의 크루즈가 이곳을 찾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
2018-07-22 김주엽
인천시가 인천항 8부두 폐 곡물창고를 개조해 문화관광시설로 꾸미는 내항 일대 해양문화관광단지 조성사업에 착수했다.인천시는 내년 12월까지 인천항 8부두 내 인천항만공사 소유 폐 곡물창고(1만2천㎡)를 개조한 복합 문화관광시설 '상상플랫폼'을 설치한다고 31일 밝혔다.1985년 지어진 이 곡물창고는 길이 270m, 너비 40m, 높이 20~27m 크기의 철골구조 건축물로 기둥과 벽이 없는 단일 공간으로는 아시아 최대 규모다. 인천시는 개조한 곡물창고 안팎을 엔터테인먼트·공연·전시 공간으로 꾸밀 예정이다. 상상플랫폼에는 가상현실(VR)과 영상스튜디오, 게임, 드라마, 영상, 음악, 웨딩 등 다양한 콘텐츠로 채워진다. 문화·관광산업 관련 연구개발과 창업 지원 장소로도 활용된다.인천시는 조만간 상상플랫폼을 운영할 전문 업체를 선정하고 인천항만공사와 부지 매입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설계와 내외부 리모델링 공사가 마무리되면 내년 12월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총 사업비는 국·시비 등 396억원이다.인천시 관계자는 "폐 창고를 대규모 문화관광 체험 시설로 재창조해 국내외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현재 상상플랫폼을 운영할 민간업체 공모가 진행 중이다"고 했다.한편 인천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인천항만공사가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는 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 계획 수립은 올해 하반기까지 마무리 된다. 인천시는 재개발 사업계획이 수립되면 내년 1월 기재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의뢰할 예정이다.이밖에 인천 내항 전체(4.64㎢)에 대한 재개발 계획을 짜는 종합 '마스터플랜'이 오는 12월 수립된다. 마스터플랜에는 부두별 기능 분류, 항만재배치, 2·6부두 재개발사업 확대 등 내용이 담긴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
2018-05-31 김민재
평택항 서해대교 인근 5만1천여㎡ 부지에 함상공원과 수변 스탠드 등 항만 친수공간을 조성하는 실시설계용역이 마무리됨에 따라 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평택항에 친수공간이 조성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30일 평택시에 따르면 '활력', '재충전', '즐거움' 등을 주제로 조성될 항만 친수공원에는 함상공원과 경관조명, 글래스 테크, 주차장, 주변 스탠드, 바람의 문, 디지털 복합문화관 등이 설치된다.함상공원은 해상 구조임무를 마치고 2016년 12월 퇴역한 평택함(2천400t)을 활용해 안보체험장으로 꾸며진다.바닥이 강화유리로 조성된 바다 산책로 100여m와 1천200㎡ 규모의 수변 스탠드를 조성해 서해 낙조를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가족 단위 이용객을 위한 디지털 복합문화관, 물소리 놀이터, 점핑 놀이터, 바다낚시존 등도 준비된다.시는 항만관련 종사자 6천260명, 평택항 주변 30㎞ 인구 158만명, 연간 평택항 이용 외국인 32만1천200명 등 사회적 이용 수요에 의해 연간 18만여명의 관광객이 친수공간을 찾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친수공간은 주변에 개발 중인 6㎞ 구간의 항만배수로 정비사업(아쿠아 벨벳)과 바다를 매립해 건설할 200만7천㎡ 규모의 항만도시, 평택호 관광단지와 연계해 서해안 관광자원으로 활용된다.시 관계자는 "평택항 항만 친수공간의 설계용역이 마무리됨에 따라 해양수산부의 실시 계획인가를 받아 오는 2020년까지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
2018-04-30 김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