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무풍지대 의왕 아파트값분양권 5억 프리미엄 매물 등장 "서울 대치동도 10억 원에 분양하는데 누가 이 아파트를 11억 주고 사겠습니까?"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대상 지역이 정해진 가운데 이 같은 규제를 비켜간 경기 지역에서 의왕시 아파트값이 무섭게 치솟고 있다.아직 입주도 하지 않은 아파트 분양권에 무려 5억 원이 넘는 웃돈이 붙어 부동산시장에 매물로 등장하는 등 '풍선 효과'가 현실화하는 모양새다.인덕원푸르지오엘센트로 호가 논란 "8억원 이상 매물 폭탄 돌리기"30년 가까이 의왕 포일동에서 부동산 중개업을 하고 있다는 A씨는 "정부가 의왕을 투기할 수 있는 지역으로 만들면서 말도 안 되는 가격에 매물이 나오고 있다"며 "시기적절하게 신축인 인덕원푸르지오엘센트로가 투기꾼들의 표적이 됐고, 8억 원 이상 매물은 대게 '폭탄 돌리기'라고 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이어 그는 "학군, 교통편 어느 것 하나 변변치 않은 이곳에 주변 시세보다 3~4억 원이나 비싼 아파트값은 '눈 가리고 아웅' 식에 불과하다"면서 "강남에 있는 아파트도 아니고 어느 정신 나간 사람이 10억 원을 주고 의왕에 있는 아파트를 사겠느냐"고 덧붙였다.인덕원푸르지오엘센트로 시세 대장주풍선 효과와 외부 투기행위 성행관계자 "다운계약서 쓰는 곳도"13일 부동산114 등에 따르면 분양가상한제 대상 지역 발표 후인 지난주 경기·인천 지역 아파트값은 각각 0.04%, 0.03% 올라 강보합세가 이어졌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인천에서는 의왕이 0.14% 오르며 상승세를 이끌었다. 특히 의왕에서도 이달 입주를 앞둔 인덕원푸르지오엘센트로 아파트 분양권에 프리미엄만 4억5천~5억 원 가까이 붙으면서 시세를 이끌 '대장주'로 떠오르는 모습이다.하지만, 일각에선 서울 주변 지역으로 투자 수요가 쏠리는 풍선 효과와 함께 규제를 피한 틈새시장을 노린 일명 '떴다방' 등 외부세력의 투기조장 행위가 암암리 성행하고 있다는 분석이다.A씨는 "서울 대치동과 인천 등지에서 투기꾼들이 왔다 간 후 어처구니없는 시세가 만들어졌다. 지금은 다운계약서를 쓰는 곳도 한두 곳이 아니다"라며 "투기꾼들은 양도소득세와 주민세 등 40% 이상을 세금으로 내야 하는 것도 연연하지 않는다. 세금을 제외하고 50%만 벌어도 성공했다고 한다. 집 한 채가 절실한 서민들이 살 집을 구하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전했다.실제 이날 해당 지역 부동산 업계에는 전용면적 84㎡ 기준 202동, 32층이 프리미엄 5억원 붙어 11억5천30만원에, 106동, 30층의 경우 프리미엄만 5억600만원이 오른 10억 6천230만원에 매물이 나와 있었다. 10억대 고가 매물 양도세·대출이자 포함GTX 기대감· 신축 아파트 평가 가치 상승서울권 아파트 분양가 비교시 논란 과열 분양 당시 이 단지의 전용면적 84㎡ 분양가가 5억 5천만 원 정도였는데, 수억 원에 달하는 웃돈이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실거래는 거의 이뤄지지 않는다는 게 부동산 관계자들의 설명이다.또 다른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10억 원 이상 매물은 양도세와 대출이자 등까지 모두 포함된 금액으로 보인다"며 "주변 시세를 볼 때 인덕원푸르지오엘센트로는 7억 5천~8억 원 정도가 적당하다"고 말했다.이어 "전날 강남권 첫 분양으로 관심을 모은 르엘대치가 11억2천400만∼16억100만원, 르엘신반포센트럴은 10억9천400만∼16억9천만원에 분양가가 책정됐다"면서 "의왕 신축 아파트가 강남 만큼 비싸다는 게 말이나 되느냐"고 따져 물었다. 부동산 114 관계자는 "(인덕원푸르지오엘센트로 11억 원대 매물 등장과 관련) GTX-C 노선에 대한 기대감과 인덕원에 역사 신설이 유력하게 거론된 점, 그리고 서울 인접지의 신축 아파트 가치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10억 원이면 서울 입성을 하겠다는 의견에 대해) 힐스테이트 창경궁 분양가가 10억 이내로 책정됐다"며 말을 아꼈다.한편, 지하철 4호선 인덕원역이 도보 10분 거리에 있는 인덕원푸르지오엘센트로는 의왕 포일동 487-22 일원에 지하 2층, 지상 최고 43층, 12개 동, 총 1천774세대 규모로 들어선다. 입주는 이달 말 예정이다./이상훈기자 sh2018@biz-m.kr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대상을 비켜간 의왕시 인덕원푸르지오엘센트로 아파트 분양권이 프리미엄만 4억5천~5억 원 가까이 붙은 까닭이 투자 수요가 쏠리는 풍선 효과와 함께 규제를 피한 틈새시장을 노린 일명 '떴다방'의 불법행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강승호기자 kangsh@biz-m.comGTX-C 노선에 대한 기대감과 인덕원에 역사 신설이 유력하게 거론된 가운데 정부의 분양가상한제까지 피해 금띠 두른 인덕원푸르지오엘센트로. /강승호기자 kangsh@biz-m.com경기·인천 주요 지역 주간 매매가격 변동률./부동산114 제공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대상을 비켜간 의왕시 인덕원푸르지오엘센트로 아파트 분양권이 프리미엄만 4억5천~5억 원 가까이 붙은 까닭이 투자 수요가 쏠리는 풍선 효과와 함께 규제를 피한 틈새시장을 노린 일명 '떴다방'의 불법행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강승호기자 kangsh@biz-m.com

2019-11-13 이상훈

올해 3분기 부동산 허위매물 신고 건수가 전 분기보다 20% 가까이 증가했다.집값 상승 및 교통망 호재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8일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 부동산매물클린관리센터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접수된 부동산 허위매물 신고 건수는 총 2만4천501건으로 전 분기(2만892건)보다 17.28% 증가했다.이 가운데 실제 허위 매물로 적발된 건수는 1만41천12건으로 전 분기(1만2천235건) 대비 15.34% 늘었다.허위매물 신고 건수는 지난해 3분기 5만913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9·13대책 이후 급감해 올해 1분기 1만7천195건까지 줄었다. 그러나 올해 2분기에 이어 3분기까지 연속해서 증가 추세다.월별 허위 매물 신고건수는 7월이 1만590건으로 가장 많았고, 8월 7천686건, 9월 6천225건을 기록했다.지역별로는 서울시가 1만1천435건으로 전 분기(9천714건)보다 17.72% 증가했고 경기도는 9천425건으로 2분기(7천356건)에 비해 28.13% 늘었다.이 기간 허위매물 신고가 가장 많았던 지역(동 단위)은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619건)이며, 실제 허위매물이 가장 많았던 곳은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292건)으로 조사됐다.KISO 관계자는 "송도의 경우 인천 송도∼남양주 마석을 잇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B노선 사업이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며 인근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이 허위매물 증가로 이어졌다"고 말했다.한편, 부동산매물클린관리센터는 월 3회 이상 매물 등록 제한 조치를 받은 중개업소는 반복적으로 허위매물을 등록하는 것으로 보고 공정거래위원회에 해당 중개업소 명단을 공유하고 있다./이상훈기자 sh2018@biz-m.kr

2019-11-08 이상훈

경기·인천 지역의 11월 첫째주 아파트 매매가격이 소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7일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이달 4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전주대비 상승(0.04%)을 기록했다.경기는 일부 지역에서 강세를 보이며 전주대비 0.05% 상승했다.수원 영통구(0.32%), 성남 중원구(0.26%), 성남 분당구(0.17%), 광명(0.13%) 등이 소폭 상승했으며, 오산(-0.11%), 이천(-0.10%), 안성(-0.08%) 등은 하락했다.성남 중원구는 도시재생사업이 중점 추진될 후보지로 선정된 금광동, 상대원동, 하대원지역에 투자 및 실수요 문의가 증가하며 트램(성남1호선) 건설 예정 지역을 중심으로 수요 문의가 활발했다.또 광명은 수도권 3기 신도시 지정을 피하면서 공급 대란에 대한 우려가 사라지고 신안산선 착공 등 교통 호재까지 현실화하자 투자자 위주의 매수세 유입이 꾸준했다.일직동에 위치한 단지들 입주 2년차가 도래하면서 매물 한두건씩 높은 가격에 출회되면서 거래되고 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 대비 0.03% 기록하며, 7주 연속 소폭 상승세를 이어갔다.경기 지역 아파트 전셋값 변동률은 전주대비 상승(0.04%)을 보였다. 수원 영통구(0.23%), 의정부(0.19%), 과천(0.18%), 의왕(0.13%) 등은 상승한 반면, 안산 상록구(-0.02%)만이 유일하게 하락세를 나타냈다. 의정부는 가을 이사철 수요로 전세 수요가 증가했으나 물량 부족이 이어졌다. 임대인들의 월세 전환으로 인해 전세물량이 많지 않은 상황이지만, 서울과 인접해 있어 저렴한 매물을 찾아 유입되는 수요가 꾸준했다.의왕은 과천, 평촌, 안양 등 경기 지역과 강남, 사당 등 서울지역으로의 교통편이 좋아 수요 문의는 항시 꾸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동 인근 송정, 장안, 고천, 초평, 월암지구 입주 및 분양예정자들이 전세, 월세로 갈아타고 있어 전세물량이 부족했다.인천 서구(0.17%)는 가을 이사철임에도 불구하고 수요 움직임이 많지 않아 거래는 다소 한산한 모습이다. 다만, 인접한 김포보다 저렴하고 계양역 공항철도 이용도 용이한 당하동 일대 소형평형 전세가가 소폭 상승, 거래되면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박상일기자 metro@biz-m.kr지역별 아파트매매가격 주간변동률./KB부동산 리브온 제공.경기 매매 상승률 상위지역./KB부동산 리브온 제공지역별 아파트전셋값 주간변동률./KB부동산 리브온 제공

2019-11-07 박상일

집값을 잡겠다는 정부의 부동산 규제 대책에도 과천, 광명, 하남 등의 아파트값은 상승곡선을 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7일 한국감정원 조사에 따르면 경기도 아파트값은 전주 0.08%에서 0.09%로 0.01%P 올랐다.부동산 시장의 예상과 달리 민간택지 내 분양가 상한제 대상지에서 제외된 과천시는 전주 0.46%에서 금주 0.51%로 오름폭이 커졌다.광명시도 상승세다. 이번 주 상승 폭은 0.27%로 전주(0.28%)와 비슷하게 상승세를 그렸다.지하철 5호선 연장 기대감이 감도는 하남시의 경우 전주 0.22%에서 금주 0.46%로 상승 폭이 껑충 뛰었다.지난 6일 주거정책심의위원회(주정심) 회의 발표로 조정대상 지역에서 해제된 고양시는 전주에 이어 이번 주에도 0%를 기록하며 보합 수준을 유지했다. 남양주시는 0.02% 올라 2주 연속 상승했다.이번 조사 기준은 지난 4일이다. 6일 정부가 발표한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지정 지역 27개 동과 조정대상 지역 해제에 따른 시장 영향은 반영되지 않았다./윤혜경기자 hyegyung@biz-m.kr광명시 원도심인 광명동(철산동 일부 포함) 지역에서 뉴타운(11개 구역)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사진은 뉴타운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광명로 양변의 광명동 지역 현재 모습. /광명시 제공

2019-11-07 윤혜경

11월 첫째주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셋값이 전주 보다 소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7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08%→0.08%) 및 서울(0.09%→0.09%)은 상승폭을 유지했으며, 지방(-0.01%→0.00%)은 하락에서 보합세로 전환(5대광역시(0.06%→0.05%), 8개도(-0.06%→-0.05%), 세종(-0.07%→0.00%)했다. 시도별로는 대전(0.34%), 서울(0.09%), 경기(0.09%), 울산(0.06%), 인천(0.03%) 등은 상승했다. 제주(-0.10%), 경북(-0.10%), 강원(-0.10%), 경남(-0.05%), 전북(-0.05%) 등은 하락했다.서울은 분양가상한제 및 부동산거래 합동조사, 자금조달계획서 점검 강화 등 정부 규제 기조로 매수심리 다소 위축됐으나, 저금리에 따른 유동성과 신축 대단지 선호현상, 상대적 저평가 단지 및 전셋값 상승 영향 등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또 인천은 연수구(0.11%)가 GTX-B노선 위주로, 서구(0.08%)는 학군, 교통 등 주거여건 양호한 마전·청라동 위주로, 부평구(0.03%)는 서울 접근성 좋은 부평동과 십정동 구축 위주로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경기지역 또한 과천(0.51%)은 원문동 대단지 및 재건축 일부 단지 위주로, 성남 수정구(0.48%)는 개발호재 있거나 입지여건 양호한 수진·창곡동 위주로, 구리시(0.46%)는 별내선 역사 예정지 인근이, 하남시(0.46%)는 지하철 5호선 연장 기대감 있는 지역 위주로 상승했다.전국 주간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12%→0.10%) 및 서울(0.10%→0.08%)은 상승폭 축소, 지방(0.01%→0.01%)은 상승폭 유지(5대광역시(0.05%→0.05%), 8개도(-0.02%→-0.03%), 세종(0.03%→0.29%))됐다./박상일기자 metro@biz-m.kr매매가격지수 변동률./한국감정원 제공전세가격지수 변동률./한국감정원 제공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한국감정원제공

2019-11-07 박상일

내년 주택 매매가격은 올해 수준인 0.8% 하락이 예상된다는 전망이 나왔다.최근 서울 등 수도권 일대 집값이 상승하고 있지만, 내년 거시경제 여건 악화로 주택 시장의 여건이 쉽게 개선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5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개최한 '2020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전국 주택 매매가격의 0.08% 하락이 예상된다는 전망치를 발표했다. 지역별로 수도권과 지방의 주택가격은 각각 0.3%, 1.2%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김성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과거 50대 이상이었던 주택소비 주력 계층이 최근 30∼40대로 이동하며 신규 주택 수요가 유입되고, 서울 일부 지역은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이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신혼부부 등에 대한 각종 금융지원 혜택이 많이 주어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주택시장의 소비 패턴이 당분간 유지되겠지만 30∼40대의 경우 소득대비 금융부채가 많은 구조"라며 "서울지역 주택수요자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지방은 미분양 주택 누적으로 어려움이 지속되겠지만 수요보다 공급이 빠르게 줄면서 올해보다 시장 상황이 소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전국 주택 전셋값은 올해(-1.9%)보다 낙폭이 둔화한 1.0% 하락으로 예상됐다. 수도권은 3시 신도시 대기 수요가 전세 시장으로 유입되고, 지방은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줄어 매매 수요가 전세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다만 계약갱신청구권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주택 인허가 물량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시행 등의 영향으로 올해 46만세대(예상치)에서 내년에는 45만세대로 소폭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공공물량 공급은 유지되겠지만 정책(서울)과 수요감소(지방)로 인한 민간공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분양(승인) 물량도 올해 30만세대에서 내년 27만세대 수준으로 줄어들면서 감소 전망됐다. 김 부연구위원은 "내년에도 특정지역과 다주택자를 겨냥한 핀셋 규제 기조가 지속될 것"이라며 "올해에 이어 내년도 하락장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중장기 정책을 확인하고 대비해야 한다"고 전망했다. /박상일기자 metro@biz-m.kr2020년 주택가격 전망./한국건설산업연구원 제공

2019-11-06 박상일

올해 10월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경매 낙찰가율을 보인 지역은 서울로 나타났다.서울의 낙찰가율은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6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2019년 10월 경매 동향보고서'를 보면 전국 경매 진행건수는 1만3천102건으로, 지난 2015년 6월(1만4천158건) 이후 최다치를 갱신했다. 이 중 4천215건이 낙찰돼 낙찰률은 32.2%를 기록했으며, 낙찰가율은 70.3%, 평균응찰자 수는 4명으로 집계됐다.이 기간 전국 낙찰가율을 유지하는데는 서울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서울 경매 낙찰가율은 전월 대비 8.7%p 크게 오른 91.4%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경매 진행건수의 비중이 높은 주거시설 낙찰가율은 97.4%로 전국 평균(81.1%)은 물론, 2위 광주(93.8%)와 3위 대구(92%)에도 크게 앞섰다.특히 지난 8월 올해 처음으로 100%를 넘겼던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은 8월(101.8%)과 9월(100.9%)에 이어 10월에도 101.9%를 기록하며 3개월 연속 고공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정부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 방침을 발표한 직후인 지난 7월 101%를 기록한 강남3구 아파트 낙찰가율은 4개월 연속 100%를 넘겼다고 지지옥션 관계자는 설명했다.지지옥션 관계자는 "경매 시장의 활성화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낙찰률 부문에 있어서는 서울(32.8%)이 30% 초반에 묶여 있는 반면, 대구(43.5%)와 대전(43.2%)은 9월에 이어 40% 선을 지키고 있다"며 "광주는 올 한해 평균 낙찰률이 전국 최고치인 45.3%에 달해 경매 시장의 인기를 더해가고 있다"고 전했다./이상훈기자 sh2018@biz-m.kr

2019-11-06 이상훈

올해 10월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 상승폭이 전달보다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매매가격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0.14%→0.27%) 및 서울(0.17%→0.44%)은 상승폭이 확대됐으며, 지방(-0.10%→-0.02%)은 하락폭이 축소(5대광역시(0.07%→0.18%), 8개도(-0.21%→-0.16%), 세종(0.00%→0.10%))됐다.수도권은 분양가상한제 적용 등을 포함한 '최근 부동산 시장 점검 결과 및 보완방안(10.1)'이 발표됐지만, 가을철 이사수요와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유동성 확대 및 집값 상승 기대심리 등으로 입지 양호한 지역과 신축 대단지, 상대적 저평가 단지 위주로 매수세가 유입되며 서울과 경기 위주로 상승폭 확대됐다.또 서울 강북 14개구는 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사업 기대감 등으로, 서울 강남11개구는 주요 인기단지와 재건축을 포함한 저평가된 기축, 정비구역 위주로 상승했다.5대 광역시 역시 부산(-0.12%)을 제외하고 모두 매매가격이 올랐다.한편, 전셋값은 수도권(0.09%→0.25%) 및 서울(0.10%→0.23%)은 상승폭이 확대했으며, 지방(-0.13%→-0.06%)은 하락폭이 축소(5대광역시(-0.04%→0.06%), 8개도(-0.19%→-0.15%), 세종(-0.13%→0.18%))돼 0.09%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한편, 주택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박상일기자 metro@biz-m.kr2019년 10월 전국주택가격동형./한국감정원 제공

2019-11-03 박상일

10월 마지막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모두 소폭 상승했다.3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달 28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4%, 전세가격은 0.06% 올랐다.매매가격은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07%→0.08%) 및 서울(0.08%→0.09%)은 상승폭이 확대됐다.지방(0.01%→-0.01%)은 상승에서 하락 전환(5대광역시(0.06%→0.06%), 8개도(-0.04%→-0.06%), 세종(0.00%→-0.07%))됐다.시도별로는 대전(0.36%), 울산(0.12%), 서울(0.09%), 경기(0.08%), 인천(0.07%) 등은 상승했으며, 경북(-0.11%), 경남(-0.08%), 세종(-0.07%), 제주(-0.06%), 전북(-0.06%) 등은 내렸다.이 기간 전세가격 역시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13%→0.12%)은 상승폭 축소, 서울(0.09%→0.10%)은 상승폭이 확대됐다. 지방(0.00%→0.01%)은 보합에서 상승 전환(5대광역시(0.05%→0.05%), 8개도(-0.05%→-0.02%), 세종(0.19%→0.03%))됐다.지역별로 대전(0.16%), 경기(0.14%), 대구(0.12%), 서울(0.10%), 인천(0.09%) 등은 상승, 제주(-0.15%), 강원(-0.14%), 경북(-0.07%), 전북(-0.05%), 부산(-0.02%) 등은 하락했다.서울 대부분 지역은 가을철 이사, 신축 및 학군수요, 청약 대기수요 등의 영향으로 매물 부족 현상을 보이며 상승폭이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인천 계양구(0.24%)는 산업단지 수요가 있는 지역과 서울 접근성이 뛰어난 역세권 위주로, 중구(0.13%)는 신규 입주물량 해소되며 중산과 북성동 위주로, 연수구(0.12%)는 정주 여건이 양호한 송도동 위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경기 지역은 적체됐던 입주물량 해소된 가운데 청약대기 및 가을 이사철 수요가 많은 하남, 과천, 양주(0.41%), 수원 영통(0.58%), 성남 수정구(0.49%) 위주로 상승세가 이어졌다./박상일기자 metro@biz-m.kr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한국감정원 제공매매가격지수 변동률./한국감정원 제공전세가격지수 변동률./한국감정원 제공

2019-10-31 박상일

1억원 이상 오른 아파트 분양권과 재개발·재건축 조합원 입주권의 매매가 지난 2015년부터 3년간 5천 건 넘게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31일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부동산에 관한 권리의 매매 건수와 양도소득 금액' 자료를 보면 1억원 넘게 오른 분양권과 입주권의 매매 건수는 2015년 604건, 2016년 1천70건, 2017년 3천769건 등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한 양도소득은 2015년 1천704억원, 2016년 2천531억원, 2017년 6천706억원 등으로 늘었다.이 기간 총 5천443건의 거래를 통해 모두 1조941억원에 달하는 매매차익을 얻었다. 전체 분양권과 입주권의 매매 건수는 2015년 8만5천674건, 2016년 9만1천896건, 2017년 10만9천180건으로 매년 증가했다.양도소득 금액도 2015년 9천434억원, 2016년 1조3천226억원, 2017년 2조6천187억원으로 해마다 크게 늘었다.김 의원은 "아파트 분양권이나 재개발·재건축 사업 조합원 입주권 거래가 실수요자 중심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단기 투기 수단으로 이용돼 부동산 가격을 부추기는 사례도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분양권 등의 전매제한 강화를 통해 부동산이 투기 수단으로 악용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명래기자 problema@biz-m.kr재건축 단지가 몰려있는 과천시 일대 전경. /비즈엠DB

2019-10-31 김명래

교통 호재로 뜨는 도시 '시흥'신안산선에 1억~2억 피 붙어 "여기 대부분 프리미엄이 2억 원씩은 붙었죠."시흥 목감지구와 장현지구 공인중개사들은 '신안산선' 덕에 아파트 단지 프리미엄이 '억'단위로 붙었다고 입을 모았다. 교통 호재가 집값 상승의 견인차 역할을 한다는 부동산 업계의 오랜 정설이 신안산선 수혜지로 거론되는 시흥을 통해 다시 한 번 확인된 셈이다.특히 시흥은 전체 면적의 절반 이상이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 주거지와 전답, 농지, 임야가 산재해 안양이나 광명 등 인접 지역보다 인프라가 부족했으나 신안산선으로 주민들의 교통 여건이 크게 개선될 것이란 기대감이 크다.25일 국토교통부와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9일 계획안 발표 후 21년 만에 안산·시흥과 서울 여의도를 잇는 복선 전철인 신안산선 착공식이 열렸다. 총 3조 3천465억 원이 투입되는 신안산선은 15개 역사가 건설되며, 오는 2024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개통 시 한양대에서 여의도까지 단 25분이면 주파 가능하다. 100분가량 소요되던 시간이 대폭 줄어드는 것이다.환승도 수월하다. 원시~시흥시청 구간에서는 2018년에 개통한 소사·원시선으로, 시흥시청~광명 구간은 일명 '월판선'으로 불리는 월곶·판교선으로 갈아탈 수 있다. 월판선은 2025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신안산선이 서울 도심 접근에 어려움을 겪던 경기 서남부 주민들의 교통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이란 기대감에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는 가운데 수혜지로 손꼽히는 시흥 목감지구와 장현지구는 분양권은 물론 기존 아파트값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었다. 목감지구에는 신안산선 '목감역'이 신설되며, 장현지구는 기존 서해선인 '시흥시청역'과 '시흥능곡역'에 신안산선이 들어선다."목감역 인접 단지 대부분 피 2억씩 붙어"광명·시흥 테크노밸리 일자리로 전망도 好목감지구는 올해 분양한 단지와 입주가 끝난 단지 모두 신안산선에 대한 기대 심리가 크게 반영되고 있었다. 지난 7월 (주)도시공감이 분양한 154세대 규모의 '목감역 지음재파크뷰'는 계약 첫날에만 59% 이상의 계약을 달성했으며, 계약 4일 만에 100% 계약을 마쳤다. 목감지구에 들어서는 마지막 단지라는 점이 실수요자 및 투자자를 끌어들인 것으로 풀이된다.목감역 예정지 인근 아파트 매매가도 분양가 대비 큰 폭으로 올랐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보면 2017년 2월 입주한 '호반베르디움 더프라임' 전용 면적 84㎡는 8월 5억3천800만 원에 거래됐다 9월 들어 5억7천500만 원, 5억5천800만 원에 매매가 이뤄졌다. 한 달 새 매매가가 2천만 원~3천700만 원 올랐다. 2018년 1월 동일 면적이 3억4천300만 원에 매매된 것을 고려하면 두 배 가까이 호가가 뛴 셈이다.2015년 8월 준공한 'LH퍼스트리움' 전용 59.95㎡ 10층 매매가도 7월 3억7천500만 원에서 이달 3억9천만 원으로 손바뀜했다. 2016년 8월 입주한 'LH네이처하임' 매매가도 전용 84.91㎡가 5월 4억6천200만 원, 7월 4천700만 원에 거래됐다.지난해 4월 입주한 415세대 규모 '시흥목감 호반베르디움 더 클래스'는 같은 해 12월 전용 119.1889㎡가 6억원에 거래됐으며, 전용 102.8205㎡는 이달 6억3천400만 원에 계약서를 썼다. KB리브온에 따르면 전용 119.1889㎡는 현재 7억 원~7억8천만 원에 매물이 나왔다. 전용 102.8205㎡ 매물은 6억5천만 원이다. 목감역 예정지로 유명한 목감둘레로 인근 김민필 공인중개사는 "목감역과 인접한 아파트 단지 대부분에 피가 2억씩은 붙었다. 임대인 13단지를 제외한 14~17단지가 제일 핫하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일자리가 제공되는 광명·시흥 테크노밸리 영향으로 호가가 뛸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봤다.시흥시청역, '트리플 역세권' 돼새 아파트 분양권 고공행진 중장현지구 '몸값'도 상승세다. 특히 시흥시청역은 서해선과 신안산선, 월판선까지 이른바 '트리플 역세권'이 되므로 인근 아파트에 투자 및 실거주 목적의 움직임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장현동 서태열 공인중개사는 "신규 분양된 5천 세대가 1년의 전매제한기간이 풀리면서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졌다. 단지별로 차이는 있지만 역과 인접한 단지는 신안산선 발표 이전보다 호가가 많이 올랐다"며 "기존보다 20~30% 뛴 감이 있다"고 말했다. 그 중에서도 시흥시청역과 인접한 동원개발 '시흥장현 동원로얄듀크 2차'와 시흥능곡역 인근 제일건설 '시흥장현 제일풍경채 센텀'이 제일 대장주라고. 장현동 권준열 공인중개사는 "전용 84㎡ 기준으로 동원은 분양가가 4억 2천만 원인데 피가 1억 원 정도 붙었고 센텀은 분양가가 4억1천500만 원인데 피가 1억에서 1억1천만 원 붙었다"고 귀띔했다. 두 단지는 각각 2020년 4월, 2021년 1월 입주 예정이다. 아파트 몸값 뛰지만 아쉬운 목소리 존재교통 외에도 생활 인프라 필요하단 지적두 지구가 신안산선 착공 이후 아파트 몸값이 뛰고 있는 실정이지만, 내부적으로도 아쉬운 목소리는 있었다.김 중개사는 "목감지구의 경우, 상업시설이 크게 없다"며 "LH가 땅장사를 하느라 (아파트 단지) 세대 수가 작다. 자족도시가 되려면 최소 2만 세대는 있어야 하는데 이곳은 1만 2천 세대다 보니까 상가가 자리 잡기 힘들다. 그게 목감지구의 아쉬움"이라며 씁쓸해했다. 권 중개사는 "학교는 구 도심인 은행동과 신천동에 많다. 이곳은 허허벌판이었다가 학교들이 생기는 것"이라며 "내년부터 입주하니까 사람이 많아져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들어선다. 차차 좋아지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윤혜경기자 hyegyung@biz-m.kr신안산선이 들어설 서해선 시흥시청역 모습. /윤혜경기자 hyegyung@biz-m.kr목감역 예정지로 거론되는 사거리./ 윤혜경기자 hyegyung@biz-m.kr목감지구 한 부동산에 붙어있는 목감역 출구 설명문 /윤혜경기자 hyegyung@biz-m.kr시흥 장현지구 지도. /윤혜경기자 hyegyung@biz-m.kr서해선 시흥능곡역 입구. /윤혜경기자 hyegyung@biz-m.kr

2019-10-28 윤혜경

올해 10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지난달 보다 소폭 상승했다.28일 KB부동산 리브온(Liiv ON)에 따르면 전국 주택 10월 매매가격이 전월대비 0.09%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이 기간 수도권은 0.19%, 5개 광역시도 0.12% 상승했다. 기타지방은 -0.17%하락했다.수도권에서는 서울(0.37%), 경기(0.07%), 인천(0.09%) 모두 상승했다. 특히 대전(0.96%)은 유성구(1.38%)와 중구(1.23%), 서구(1.21%)가 고르게 상승하며 지난달 0.54%로 상승한 이후 더 큰 상승을 기록했다.대전의 유성구는 장대동 B구역 재개발 사업이 가시화되고 있고, 구암동 유성복합터미널 사업추진, 용산동 현대 아울렛 착공, 대전 도시철도2호선 트램건설 등 대형 개발 사업이 잇따라 발표되면서 투자자는 물론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렸다.서울을 주택유형별로 구분하면 아파트는 10월에도 0.58%로 상승으로 이어졌으며, 단독주택이 0.17%, 연립주택 0.10% 상승해 주택 전체 0.37% 상승했다.인천을 제외한 지방 5개 광역시는 대전(0.96%)이 매우 높게 상승했다.서울 주택 매매가격은 모든 유형의 주택이 상승하며 전월 대비 상승한 0.37%의 변동률을 기록했다. 강남구(1.01%), 양천구(0.85%), 영등포구(0.78%), 송파구(0.71%) 등 전 지역이 전월대비 상승을 기록했다.경기(0.07%) 지역은 전월 대비 상승했으며, 인천(0.09%) 역시 전월 대비 상승했다.지역 별로 안양 만안구(0.57%), 성남 분당구(0.52%), 수원 영통구(0.45%), 성남 중원구(0.44%), 광명(0.32%) 등 1기 신도시 일부 지역과 GTX 및 신안산선 호재가 있는 지역 중심으로 상승했다.반면, 화성(-0.38%), 평택(-0.33%), 일산서구(-0.21%), 남양주(-0.11%), 이천(-0.09%) 등 공급이 많이 이뤄진 곳은 하락했다. 성남 분당구는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강남권을 중심으로 한 주요 지역 매매가 고공 상승이 계속됐던 이전 학습 효과로 매도자들은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보류상태에서 호가를 계속 올리고 있다. 수원 영통구는 신분당선이 들어가는 이의동 일대와 GTX-C 노선이 들어가는 망포동 인근에 매매수요가 증가하며 가격이 상승했다.성남 중원구는 도시재생사업이 중점 추진될 후보지로 선정된 금광동, 상대원동, 하대원지역에 투자 및 실수요 문의가 증가했고, 광명은 신안산선 착공 등 교통 호재가 현실화하자 투자자 위주의 매수세 유입이 꾸준하다. 한편, 전국 주택 전셋값은 전월 대비 0.05% 상승을 기록했다. 수도권과 광역시는 전세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지방은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박상일기자 metro@biz-m.kr2019년 지역별 주택매매가격 월간 증감률./KB부동산 리브온 제공경기 주요 상승지역 주택 매매가격 전월대비 증감률./KB부동산 리브온 제공

2019-10-28 박상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이 상승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경기도 내에선 개발 호재가 있는 일부 지역에서만 소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24일 KB부동산 리브온(Liiv ON)이 발표한 주간 KB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 21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전주대비 상승(0.03%)을 기록했다. 경기 지역은 0.02%p 상승했다.도내에선 개발 호재가 있는 일부 지역에서만 상승세를 나타냈다.지역별로 과천(0.23%), 성남 중원구(0.21%), 수원 영통구(0.20%), 광명(0.16%) 등은 소폭 상승했다.반면, 화성(-0.12%), 광주(-0.09%), 고양 일산서구(-0.04%) 등은 내림세를 보였다.과천은 강남권 상승 분위기와 주공 8, 9단지 재건축 예정 호재로 인해 급격히 오른 매도호가에도 1~2건 씩 거래가 이뤄졌다.GTX-C 노선 신설 확정을 비롯한 과천지식정보타운 조성 등의 호재로 투자자 관심이 꾸준했던 지역이다. 따라서 급매물 출회로 가격 조정이 있었던 래미안슈르 매매가가 급매물 소진과 함께 상승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수원 영통구는 신분당선이 들어가는 이의동 일대와 GTX-C 노선이 들어가는 망포동 인근에 매매수요가 증가하며 가격이 상승했다. 오는 2020년 경기도청 신청사와 한국은행 경기본부, 한국가스안전공사 등의 공공기관이 이전을 앞두고 있고, 광교신도시 부근에 광교테크노밸리와 광교비즈니스센터, 국내 최대 R&D융복합단지인 CJ블로썸파크 등을 배후 수요로 두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 대비 0.02% 기록하며 5주 연속 소폭 상승세를 지속했다.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 대비 0.02% 상승을 기록했다. 수도권(0.04%)과 5개 광역시(0.02%)는 전주대비 상승했고, 기타 지방(-0.03%)은 내림세를 보였다./이상훈기자 sh2018@biz-m.kr경기도 매매 상승률 상위지역 표./KB부동산 리브온 제공지역별 아파트 전세가격 주간변동률 표./KB부동산 리브온 제공

2019-10-24 이상훈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시행이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서울·경기 지역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소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24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0.07%) 대비 0.08% 상승했다. 경기도의 아파트값 역시 지난주 0.04%에서 금주 0.06%로 오름폭이 커졌다.기준금리 인하와 교통 호재가 있는 곳을 중심으로 문의가 늘면서 상승폭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지역별로 서울 강남4구(동남권) 아파트값은 지난주 0.10%에서 0.12%로 오름폭이 확대됐다. 서초구 아파트값이 지난주 0.07%에서 금주 0.12%로 상승폭이 커졌고 송파(0.14%)와 강남구(0.10%)도 지난주보다 0.01∼0.02%p 오름폭이 확대됐다.최근 한남3구역 시공사 선정이 과열되고 있는 용산구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6% 올랐고, 양천구(0.10%)는 목동 신시가지 기존 아파트값이 상승하면서 강남권 다음으로 오름폭이 컸다.경기 지역은 과천시가 과천 주공1단지의 고분양가 등의 영향으로 지난주 0.58%에서 0.64%로 크게 올랐다.분당의 아파트값은 0.19%로 지난주(0.20%)보다 상승폭이 소폭 둔화했으나 광명의 아파트값은 지난주 0.19%에서 0.20%로 커졌다.그동안 내림세를 이어오던 지방의 아파트값도 0.01% 올라 2017년 8월 셋째 주 이후 112주 만에 상승 전환했다.이런 가운데 일각에선 정부가 분양가 상한제를 동별로 '핀셋 지정'하기로 하면서 상한제 적용 지역을 비껴갈 것으로 예상되는 곳에서는 일부 풍선효과가 나타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전셋값도 매매와 마찬가지로 오름폭이 커졌다.서울 아파트 전셋값 0.09% 상승한 가운데 송파구의 전셋값이 지난주 0.14%에서 금주 0.24%로 내림폭이 크게 확대됐다./박상일기자 metro@biz-m.kr전국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한국감정원 제공

2019-10-24 박상일

10월 3째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전주에 비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24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2019년 10월 3주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매매가격은 0.04%, 전세가격은 0.06% 상승했다.매매가격부터 살펴보면 수도권 및 서울, 지방 모두 지난주 대비 상승했다. 수도권은 0.05%에서 0.07%로, 서울은 0.07%에서 0.08%로 상승 폭이 늘었다. -0.01%였던 지방은 0.01%로 하락에서 상승 전환했다.시도별로는 대전(0.39%), 울산(0.13%), 서울(0.08%), 인천(0.07%), 경기(0.06%), 충남(0.04%) 순으로 상승했다.반면 제주(-0.15%), 경북(-0.12%), 경남(-0.08%), 전북(-0.06%), 부산(-0.05%) 등은 하락했다.전주 대비 0.01%P 상승한 서울은 부동산거래 합동조사, 분양가상한제 시행 예정 등 집값 안정을 위한 정부의 규제 기조로 매수세가 다소 위축됐지만 기준 금리 인하 및 풍부한 유동성에 따른 유동자금 유입, 주요 인기단지 및 인근의 키맞추기 상승, 학군 또는 교통 호재 있는 지역의 꾸준한 수요 등에 따라 강남권 위주로 상승 폭이 늘었다.0.05%P 오른 인천은 3기신도시 기대감이 영향을 미치는 계양구와 상승 전환한 미추홀구, 검암역세권 개발사업 기대감이 서린 서구 등으로 상승 폭이 확대됐다.상승폭이 0.02%P 증가해 0.6%가 된 경기는 광교신도시와 정비사업 및 교통 호재가 있는 수원시 영통구 매탄·신동, 교통 호재와 원도심 정비사업 기대감이 있는 위례신도시와 신흥·단대동 등이 상승의 견인차 구실을 했다.전세가격도 전주에 비해 상승 폭이 늘었다. 수도권은 0.10%에서 0.13%로, 서울은 0.08%에서 0.09%로 확대됐다. 지방은 0.00%로 보합을 유지했다.시도별로 살펴보면 세종(0.19%), 경기(0.16%), 대전(0.15%), 대구(0.13%), 인천(0.12%) 등이 상승한 것에 비해 제주(-0.22%), 강원(-0.16%), 경남(-0.10%), 경북(-0.09%), 전북(-0.05%) 등은 하락했다./박상일기자 metro@biz-m.kr2019년 10월 3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한국감정원 제공

2019-10-24 박상일

올해 전국에서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용인시 처인구로 나타났다.SK하이닉스의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이슈가 땅값 상승률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9년 3분기 전국 지가(땅값) 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통계를 보면 올해 들어 지난 3분기까지 전국 땅값은 평균 2.88%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3분기 누계(3.33%)와 비교해 상승률이 0.45%p 낮은 수준이다.지역별로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16곳의 땅값이 오른 가운데, 세종(3.96%)이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서울(3.78%), 광주(3.63%), 대구(3.39%), 경기(3.15%) 등의 순으로 상승 폭이 컸다.시·군·구 기초자치단체 단위에서는 용인 처인구(5.17%)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앞서 지난 2월 SK하이닉스 반도체 클러스터 지정과 용인 테크노밸리 인근 투자 수요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이어 3기 신도시(교산지구) 인접 지역이면서 지하철 3호선 연장 추진 소식 등이 겹친 하남시(4.84%)와 도심 주택재개발(만촌동 등)이 진행 중인 대구 수성구(4.74%), 지식정보타운 사업과 3기 신도시 지정 등의 영향을 받은 과천시(4.44%) 등의 상승률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서울 성동구(4.33%)도 지식산업센터 개발수요와 역세권 부근 재개발사업 기대에 4% 이상 올랐다.토지 용도별로는 주거(3.22%), 상업(3.12%), 계획관리(2.6%), 녹지(2.53%), 농림(2.27%), 생산관리(1.94%), 공업(1.59%)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토지 거래량은 지난해보다 감소했다. 올해 3분기까지 전체 토지 거래량은 약 205만 6천 필지(1,385.8㎢, 서울 면적의 약 2.3배)로, 전년 3분기 누계(241만 1천 필지) 대비 약 14.7% 감소했다. 특히 주거용 거래량이 크게 감소(전체 감소분 중 68.6%)했다.토지 거래량은 대구(7.1)에서만 증가했다. 세종 (-37.2), 서울(-29.3), 제주(-27.9), 광주(-23.7) 등 16개 시·도에서 거래량이 감소했다. /이상훈기자 sh2018@biz-m.kr2019년 3분기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표./국토교통부 제공주요 시군구 2019년 3분기 누적 지가 변동률./국토교통부 제공

2019-10-24 이상훈

서울에서 상가 투자 수익률이 가장 높은 곳은 남대문 상권인 것으로 조사됐다.남대문 상권은 공공기관, 대형 유통점, 관광명소, 기업 등의 인구 유입 시설이 많아 국내 대표 상권으로 자리매김했다.24일 상가정보연구소에 따르면 한국감정원 통계를 분석한 결과 올 상반기 남대문 상권의 중대형 상가 투자수익률은 4.67%로 서울시 주요 상권 42곳의 평균 3.61%보다 1.06%p 높았다.이는 통계가 조사된 서울 상권 내 가장 높은 투자 수익률이다.SK텔레콤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지오비전 통계를 통해 남대문 상권을 분석한 결과 올해 8월 기준 남대문 상권 일평균 유동인구는 41만 2천417명이며, 월평균 1천237만여명의 유동인구가 상권을 찾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기간 남대문 상권 내 일반 식당(한식) 매장 매출은 약 월 5천86만원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남대문 상권이 속한 서울 중구 일반 식당 평균 매출(2천790만원) 보다 2천296만원이나 높았다.안경 소매점의 평균 매출은 5천790만원이었고, 이 역시 중구 안경 소매점 4천107만원 대비 1천683만원 높은 매출이었다.조현택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남대문 상권은 과거부터 숭례문 수입상가, 중앙상가, 도깨비수입상가, 액세서리 상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성과 콘텐츠를 갖은 상권"이라며 "이러한 콘텐츠 상가 덕분에 남대문 상권에는 아직도 많은 사람이 찾고 있고 관광을 목적으로 한 유동인구도 계속하여 상권에 유입되고 있어 현재까지도 활기를 띠고 좋은 상권이다"고 분석했다.이어 "남대문 중대형 상가의 공실률은 6.3%로 서울 평균 공실률 7.4%보다 1.1% P 낮은 수치이며 많은 유동인구 중 실수요자들의 비중이 높고 객단가도 높다"며 "그러나 내수경기 침체, 온라인 쇼핑의 지속적인 성장 등의 요소가 향후 상권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이상훈기자 sh2018@biz-m.kr남대문의 모습./상가정보연구소 제공

2019-10-24 이상훈

올해 3분기(7∼9월) 수도권에서 분양된 아파트의 평균 청약경쟁률이 22.3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지난 2분기 보다 3배 가까이 상승한 수준이다.21일 직방에 따르면 이 기간 1순위 기준으로 청약 경쟁률은 전국 17.6대1, 수도권 22.3대 1, 지방 14.2대 1을 기록했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올 2분기 보다 무려 2.85배, 3배 가까이 상승해 분양시장의 호황을 이끌었다. 3분기 1순위 청약 미달률은 전국 21.8%, 수도권 11.2%, 지방 29.6%로, 수도권은 2분기보다 17.0%p 하락했지만, 지방은 11.5%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과 지방 모두 1순위 청약경쟁률이 증가했지만, 미달률은 지방에서 외려 상승해 지역과 단지에 따른 수요자 쏠림 현상이 심해진 것으로 분석됐다.평균 최저가점은 전국적으로 2분기 45.0점에서 3분기 51.1점으로 높아졌다. 이 중 수도권은 2분기 44.9점에서 3분기 52.3점, 지방은 2분기 45.1점에서 3분기 49.4점으로 상향됐다.이어 분양가격대별 1순위 청약경쟁률은 6억∼9억원 44.3대 1, 4억∼6억원 29.6대 1, 9억원 초과는 24.9대 1로 집계됐다.직방 관계자는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이후 분양가격 인하를 기대하면서 분양 수요의 관망세가 커질 것이라는 예상은 빗나가고 있다"면서 "정부의 분양가상한제 시행 지역과 분양가 산정 방법이 구체화하지 않아 시장이 체감하지 못하는 것도 원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상훈기자 sh2018@biz-m.kr권역별 아파트 청약경쟁률 표./직방 제공

2019-10-21 이상훈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지난주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경기 지역의 경우 개발 호재가 있는 성남과 수원, 광명 등을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했다.17일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전주대비 상승(0.03%)을 기록했다. 지역별로 경기는 0.03%, 인천을 제외한 대전(0.31%)과 대구(0.03%), 울산(0.06%) 등 5개 광역시(0.05%)가 상승했다. 반면 부산(-0.03%)과 광주(-0.01%)는 소폭 하락했다.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와 비슷한 상승률인 0.15%의 변동률을 기록했다. 강남구(0.35%), 양천구(0.35%), 강동구(0.30%), 금천구(0.27%), 광진구(0.24%) 순으로 다른 구에 비해 상승폭이 소폭 높았다.강남구는 대치동은 명문학교 전학이나 입학을 위한 실수요 유입이 꾸준하고, 일원동, 개포동, 압구정 등을 비롯한 그 외 지역들도 신축 단지를 중심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매수세가 잠시 주춤했던 재건축 단지들도 상승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양천구는 겨울방학 이사 수요 문의가 꾸준하여 30평대 미만 중소형 평형 단지들 위주로 매매 거래가 활발한 편이다. 서울 다른 지역에 비해 재건축 단지들에 대한 투자 수요 문의도 꾸준하며, 특히 목동신시가지 6, 9, 13단지 정밀 안전진단 신청, 10단지 안전진단비용 모금활동 시작 등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강동구는 초과이익환수제, 분양가 상한제를 피해 둔촌동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는 모습이다.경기 지역은 개발 호재가 있는 일부 지역에서만 상승을 보이면서 전주대비 0.03%의 상승률을 유지했다. 성남 중원구(0.24%), 광명(0.19%), 성남 분당구(0.16%), 수원 영통구(0.15%) 등은 소폭 상승했으며, 오산(-0.08%), 일산서구(-0.06%), 안성(-0.05%), 평택(-0.03%) 등은 하락했다.성남 중원구는 도시재생사업이 중점 추진될 후보지로 선정된 금광동, 상대원동, 하대원지역에 투자 및 실수요 문의가 증가하며 매물부족으로 인해 오름세가 지속됐다.트램(성남1호선) 건설 예정 지역을 중심으로 수요 문의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남 분당구는 학군 선호와 강남권 출·퇴근이 쉬운 지역으로 실수요 문의가 꾸준하고 월판선, 성남2호선 트램 등의 교통 호재로 투자자 관심도 꾸준하다. 한편,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 대비 0.02% 상승을 기록했다. 수도권(0.04%)과 5개 광역시(0.02%)는 전주대비 상승했고, 기타 지방(-0.03%)은 하락을 보였다./박상일기자 metro@biz-m.kr지역별 아파트매매가격 주간변동률./KB부동산 리브온 제굥전국 시도별 아파트매매가격 주간변동률./KB부동산 리브온 제공경기 매매 상승률 상위지역./KB부동산 리브온 제공

2019-10-17 박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