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시가 오는 27일 교통취약지역 해소를 위한 따복버스를 개통하는 동시에 대중교통운행노선을 개편 조정해 운행에 들어간다.개통식은 오는 26일 오전 10시 시청 정문에서 열릴 예정이다.따복버스는 교통취약지역 해소를 목적으로 요일·시간대별 수요 및 지역 특성을 반영해 제공되는 다목적 버스 서비스다.시는 대중교통 노선 이용이 어려운 시 외곽지역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말 경기도에 따복버스 사업을 신청해 선정됐다.이에 27일부터 8번과 8-1번 노선으로 운행에 들어간다. 평일에만 운행하는 노선인 8번은 과천시청, 환경사업소, 화훼단지, 삼포마을, 뒷골, 과천중학교, 과천시청 등을 운행한다. 8-1번은 토·일요일, 공휴일에만 운행한다. 과천시청, 환경사업소, 선바위역 1번 출구, 삼포마을 뒷골, 과천성당, KT과천지사, 과천시청 등을 운행한다.8번은 하루 28회, 8-1번은 하루 26회 운행하며 첫차는 오전 5시 50분, 막차는 오후 9시 50분 시청에서 출발한다.대신 비슷한 노선을 오가던 3-1번 버스는 폐지됐고 기존 마을버스 3번과 5번은 노선이 일부 조정됐다. 5번은 사기막골을 추가 경유지로, 운행횟수는 평일, 토요일, 공휴일에 기존 12회에서 14회로, 일요일은 기존 12회에서 13회 로 늘어난다. 마을버스 1번과 2번은 적게는 9회에서 많게는 30회 정도 축소 운행된다. 과천/이석철기자 lsc@kyeongin.com
2018-04-23 이석철
인천시가 택시운송사업 발전을 위한 5~10년 단위 장기 종합 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시는 택시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지원하고 시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택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택시운송사업 종합 발전 및 시행계획 용역을 하기로 했다고 19일 밝혔다.시는 우선 5년 단기 시행계획(2018~2022년)과 10년 종합계획(2018~2027년)으로 나눠 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개선 분야는 택시 총량제, 감차보상 방안, 면허제도 개선과 같은 수급조절 방안을 비롯해 택시운행정보관리시스템 구축, 택시 상시 단속반 구성 등 효율적인 택시 운영 방안이다.택시운송사업 경쟁력 향상 방안으로는 생활권 중심 공동사업구역 지정 추진, 택시 공동차고지, 친환경 전기 택시 도입을 검토한다. 특히 최근 확산되고 있는 유사택시(우버, 펫택시)에 대한 대응 방안도 마련한다. 운수종사자의 근무여건 개선방안도 종합 계획에 포함한다. 운송수입금 관리 체계 개선, 운수 종사자 근무환경·근무시간 개선, 택시 쉼터 확대, 교통회관 건립이 주로 검토될 예정이다. 시민들을 위한 택시 서비스 개선을 위한 대책도 수립한다. 택시 운전자 친절도 향상 방안, 택시 유형 다양화, 콜택시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
2018-04-19 윤설아
경기도가 19일 버스 준공영제 수입금관리위원회를 열어 표준운송원가를 의결했다. 이에 따라 20일부터 경기도 14개 시군·59개 노선을 대상으로 광역버스 준공영제가 시행된다.이날 경기도는 홍귀선 경기도 교통국장을 위원장으로 한 수입금공동관리위원회를 개최하고 표준운송원가를 심의·의결했다. 이날 의결된 표준운송원가는 1일 1대당 63만2천965원이다.이로써 20일부터 광역버스의 근무형태는 격일제에서 1일 2교대제로 전환된다. 이번 준공영제는 637개의 광역버스를 대상으로 파주, 안양, 포천, 양주, 용인, 남양주, 구리, 하남, 광주, 가평 등 버스 인허가권을 가진 10개 시군과 해당 노선이 경유하는 의정부, 군포, 의왕, 과천이 참여한다.다만 아직까지 14개 참여업체 중 4개사가 2교대 시행을 위한 운전자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업체 중 3곳은 이달 중으로, 1곳의 업체는 다음 달 20일까지 충원을 완료할 계획이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은 차기 10대 도의회의 첫 임시회가 열리는 오는 7월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 과정에 절차적 문제가 없는지를 검증할 행정사무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강기정·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
2018-04-19 강기정·신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