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하루 최대 7만4200명 예상수송예측 100% 인정 쉽지않아정부 예타 결과도출 지연 우려경제·정책·균형발전 등 변수도서울지하철 7호선을 청라국제도시까지 연장하는 사업과 관련해 우려의 목소리가 새해 벽두부터 높아지고 있다. 이 사업에 대한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도출이 늦어지는 데 따른 것인데, 7호선 연장 노선을 이용할 교통수요를 얼마나 확보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노선도 참조■ '우여곡절' 많은 청라 연장인천시가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국제도시 활성화로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겠다"며 서울 7호선의 청라 연장을 추진했지만, 그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1조2천380억여 원(국비 60%, 시비 40%)의 사업비를 투입해 7호선 석남역과 공항철도 청라국제도시역 간 10㎞ 정도를 연장하겠다는 게 이 사업의 주된 내용이었는데, 사업성 확보문제가 번번이 발목을 잡았다. 2009년과 2011년 두 번의 자체 편익비용분석(BC) 값 조사 용역에서 각각 0.27과 0.52의 결과가 나왔다. BC 값이 1 이하라는 건 사업성이 없어 사업추진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뜻한다. 인천시는 이후 인근 지역의 개발수요를 추가 반영하고 노선을 바꾸는 등의 노력으로 1.07이라는 자체 BC 값을 확보했고, 2014년 11월 정부로부터 예비타당성 조사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인천시는 교통수요 확보를 위해 루원시티·시티타워 등의 개발, 하나금융타운 조성 등 인근 지역 10여 개 개발 사업을 반영했다. 석남동~청라 간 연장노선도 대규모 아파트 단지 등 인구밀집 지역 중심으로 변경했다. 인천시는 7호선 연장노선의 수송수요가 하루 최대 7만4천200여 명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사업성을 인정받게 되면, 7호선 연장사업은 올해부터 바로 추진된다. 인천시는 사업 추진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예산 11억원을 올해 예산에 확보한 상태다. 2024년 개통이 목표다. 반대로 사업성을 인정받지 못하면, 사업추진이 상당기간 지연되거나 최악의 경우엔 무산될 수 있다. 인천시는 올 상반기 예비타당성 조사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교통수요 확보 '관건' 인천시는 교통수요를 얼마나 많이 확보하느냐가 서울 7호선 청라 연장사업의 정상추진에 관건이 될 수 있다고 봤다.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과정에서 인천시의 자체 교통수요 분석결과가 100% 인정받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청라와 서울을 연결하는 BRT, M 버스 등 광역버스가 7호선 청라 연장구간과 경쟁 관계에 있고, 시티타워나 하나금융타운 등이 활성화되지 않아 현재 유동인구가 많지 않다고 보고 있다. 사업의 타당성을 경제적·정책적·지역균형발전 등 측면에서 따지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계층화 분석법) 값도 변수다. BC 값이 1을 넘지 못하더라도 AHP 값이 0.5 이상일 경우 사업 추진 가능성이 남게 된다. 특히 AHP 값은 수치화가 어려운 정성적 평가 요소가 많다.인천시 관계자는 "BC 값이 1에 못 미치더라도, AHP 값이 0.5 이상이 나오면 사업이 정상 추진되는 경우가 많다"며 "이후 진행될 관계기관 실무회의와 점검회의 등 과정에서 인천의 입장이 예타 결과에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서울지하철 7호선을 인천 청라국제도시까지 연장하는 사업과 관련해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결과 도출이 늦어지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9일 인천 청라국제도시에 지하철 7호선 청라 연장을 요구하는 현수막이 나붙어 있다. /임순석기자 sseok@kyeongin.com
2017-01-09 이현준
코레일은 올해 설 열차승차권을 오는 10∼11일 홈페이지(www.letskorail.com)와 지정된 역 창구, 승차권 판매 대리점에서 예매한다고 4일 밝혔다.10일은 경부·경전·충북·동해선, 11일에는 호남·전라·장항·중앙선 등의 승차권을 각각 예매한다.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는 오전 6시부터 오후 3시까지 9시간 동안 예매할 수 있고, 지정된 역과 승차권 판매 대리점에서는 오전 9시부터 11시까지 2시간 동안 가능하다.예매 대상은 1월 26∼30일 5일간 운행하는 KTX·새마을·무궁화호 등의 열차와 O·V·S·DMZ-트레인 등 관광전용열차의 승차권이다.관광전용열차는 O-트레인(중부내륙관광열차), V-트레인(백두대간협곡열차), S-트레인(남도해양열차), DMZ-트레인, 정선아리랑열차, 서해금빛열차 등이다.전체 승차권 중 인터넷에 70%, 역 창구 및 판매 대리점에 30%가 각각 배정된다.이번 예매부터는 홈페이지에서 예매할 때 좌석이 매진된 열차는 매진 즉시 예약대기를 신청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인터넷으로 예약한 승차권은 11일 오후 4시부터 15일 자정까지 결제해야 하며, 예매기간에 판매하고 남은 승차권은 11일 오후 4시부터 판매한다.승차권 예매시 주의할 사항은 1회에 최대 6매까지 예매 가능하며, 1인당 최대 12매로 제한된다. 또 스마트폰 앱 '코레일 톡'과 자동발매기에서는 설 승차권을 예매할 수 없다.단 11일 오후 4시부터는 코레일톡과 자동발매기에서 예매가 가능하다.장거리 이용고객의 승차권 구입기회 제공을 위해 서울(용산)∼수원(광명), 부산∼삼랑진, 목포∼나주, 진주∼마산 등 단거리 구간의 승차권은 예매 대상에서 제외된다.자세한 사항은 레츠코레일 홈페이지(www.letskorail.com)를 참조하거나 철도고객센터(1544-7788, 1588-7788)에서 확인할 수 있다.한편 코레일은 설 승차권의 편리한 온라인 예매를 돕기 위한 예매 전용 홈페이지를 6일 오후 2시부터 사전 오픈한다. 대전/전병찬기자 bychan@kyeongin.com
2017-01-04 전병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