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대규모 구도심 활성화 프로젝트인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에 얽힌 지역별·분야별 이해관계를 풀어내고, 시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범시민참여협의회를 구성했다. 경인고속도 일반화 사업을 추진하면서 불거질 수 있는 각종 민원이나 논란을 범시민참여협의회를 통해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는 게 인천시 취지다. 인천시는 지난 10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범시민참여협의회' 출범식과 함께 첫 회의를 가졌다고 11일 밝혔다.협의회는 시민단체를 포함한 시민 299명, 분야별 전문가 12명, 시의원·구의원 27명, 공무원 12명을 비롯해 총 350명으로 구성됐다. 시는 협의회에 '도시계획', '도로', '교통', '산업', '공원·녹지' 등 5개 분과위원회를 두고, 수시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관련 의견을 수렴할 방침이다. 협의회 의견은 인천시가 종합적으로 검토해 올 9월까지 진행할 계획인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기본계획에 반영하기로 했다. 경인고속도로 인천기점~서인천IC 구간(10.45㎞)은 지난해 말 일반도로로 전환해 관리권이 인천시로 넘어오면서, 기존 고속도로의 구조를 개선해 대규모 공원·녹지를 조성하고 주변지역에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 일반화 사업이 본격화했다. 인천시가 우선 추진하고 있는 '제한속도 줄이기(시속 100㎞에서 60㎞)', '진출입로 공사' 같은 고속도로의 일반도로 전환 과정에서부터 각종 민원이 가중되고 있다. 경인고속도로 인천기점 주변 지역인 중구 주민들은 고속도로 폐지 구간에 지하 대체도로를 조성해달라고도 요구하고 있어 인천시가 검토에 나섰다. 이외에도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관련 난제가 많다. 경인고속도로가 일반도로로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화 구간을 넘어선 부평요금소에서 한국도로공사가 계속 통행료를 받고 있기 때문에 시민들 불만이 크다.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구간의 대체도로 성격으로 민간에서 추진하고 있는 '문학~검단 간 지하 고속화도로'도 한국개발연구원(KDI)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의 적격성(사업성) 검토가 예상 일정보다 늦어지고 있다. 인천시가 '소통창구' 역할을 할 범시민참여협의회를 구성한 주요 이유다. 시는 이달 말께 2차 회의를 열어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기본계획 용역 진행사항을 보고하고, 1차 회의에서 제기된 의견의 검토 결과를 설명할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범시민참여협의회 전체 회의는 올해 총 4차례 개최할 계획이지만, 분과별 의견 수렴은 수시로 하겠다"며 "협의회를 통해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기본계획의 완성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지난 10일 인천시청에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사업 범시민참여협의회'가 출범했다. /인천시 제공
2018-03-11 박경호
사업비 분담을 놓고 인천항만공사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인천지방해양수산청 등이 갈등을 빚고 있는 '아암지하차도'(가칭) 건설사업 문제(2017년 12월19일자 7면 보도)가 '인천항 고위정책협의회'에서 다뤄질 전망이다.인천항만공사는 "오는 22일 열리는 인천항 고위정책협의회에 '동측 교량 접속부 지하차도(아암지하차도) 사업비 분담안'을 주요 안건으로 상정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인천항만공사, 인천경제청, 인천해수청 등은 지난해 8월부터 아암지하차도 건설 사업비 분담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교통영향 분석 용역을 실시했다. 올해 10월 송도국제도시 6·8공구 아파트 입주가 시작되고, 2019년 하반기 신국제여객터미널(송도 9공구)이 개장하면 아암로를 이용하는 차량이 늘어나면서 교통 체증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송도 9공구와 아암로를 잇는 '아암1교' 주변에 지하차도를 건설하는 방안이 제시됐고, 240억 원에 달하는 공사비 분담 비율을 정하기 위한 용역이 진행됐다. 이 용역은 교통 체증 유발 정도를 조사해 각 기관의 사업비 부담 비율을 정하자는 취지에서 이뤄졌다.용역에서는 인천해수청이 79.8%, 인천항만공사가 7.1%, 인천경제청이 6.6%, 인근에서 개발 사업을 벌이고 있는 부영이 6.5%를 분담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그러나 관계 기관에서는 예산 편성에 소극적이다. 인천경제청은 "송도 6·8공구 기반 공사가 마무리된 상황이기 때문에 추가 예산 투입이 어렵다"는 입장이고, 인천해수청은 "해양수산부의 '항만 배후도로 건설 지원 지침'에 따라 50% 이상 사업비 제공은 힘들다"는 뜻을 인천항만공사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인천항만공사는 인천시 정무경제부시장, 인천해수청장, 인천항만공사 사장 등이 참석하는 인천항 고위정책협의회에서 이 문제를 논의하기로 했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큰 규모의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이기 때문에 실무진보다는 기관장들이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
2018-03-05 김주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