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많은 노인들이 길을 걷다가 차량에 치여 숨지는 일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수단·시설 만족도가 가장 낮은 교통약자는 장애인으로 조사됐다. 인천시는 고령자와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안전과 이동 편의를 위한 정책을 강화하기로 했다.인천시는 23일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제3차 교통안전 기본계획 및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안(2017~2021년)' 시민 공청회를 했다.지난해 인천지역에서 보행 중 교통사고로 숨진 사람의 특성을 보면, 고령자(만 65세 이상)가 전체의 44.5%를 차지한다. 45~54세는 18.9%, 55~64세 15.6%, 35~44세 8.9% 등 대체로 나이가 많을수록 보행 중 교통사고에 취약했다. 고령 보행자 나이별 교통사고 발생률은 65~69세 49.5%. 70대 36.6%, 80대 12.6%, 90세 이상 1.3%다.인천 인구 가운데 고령자·어린이·장애인·임산부 등 교통약자의 비율은 28.2%(2015년 말 기준)로, 최근 5년간(2011~2015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교통약자 구성비를 보면 어린이(만 12세 이하)가 42.7%로 가장 많고, 다음은 고령자(38.0%)·장애인(16.3%)·임산부(3.0%) 순이다. ┃그래프 참조하지만 교통약자 인구 추이를 보면, 고령자 증가가 뚜렷한 가운데 어린이와 임산부는 감소하고 있다. 저출산·고령화 현상에 따라 고령자의 교통안전과 이동편의를 위한 대책이 더욱 강화돼야 하는 것이다.장애인의 교통수단·시설 만족도는 매우 낮았다. 시가 올 9월 중순부터 60일간 인천지역 교통약자 1천796명을 대상으로 교통수단·시설 만족도를 조사했는데, 장애인의 만족도가 모든 부문에서 최하위였다. 교통수단·시설별로는 시내버스 만족도가 50.5%에 그쳐 가장 낮았다. 버스정류장과 버스터미널 만족도 또한 각각 51.0%, 51.6%에 불과했다. 장애인의 도시철도·철도역사 만족도 역시 50%대에 그쳤지만, 버스보다는 높았다.시는 초고령화 시대에 대비해 '고령자 교통안전·이동편의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고령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 분석 작업을 통해 노인보호구역을 추가 지정하기로 했다. 또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교통안전 교육을 확대하기로 했다. 장애인을 위해선 장애인 콜택시와 저상버스 확충, 바우처택시 24시간 운영제 도입, 지하철 역사 안내도우미 배치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
2016-11-23 목동훈
유정복 인천시장은 지난 17일 청와대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과 전국시도지사협의회 간 간담회 자리에서 '공항철도 수도권 통합환승요금제 영종지역 확대'와 '제3연륙교 건설'을 건의했다. 수많은 인천 현안 가운데 공항철도 영종지역 요금 인하와 제3연륙교 건설 문제 등 2건을 건의한 것이다. 그만큼 이들 현안을 중요하게 본다는 얘기다. 인천시 관계자는 "두 현안은 인천 발전과 시민들의 삶에 직결된 문제"라고 했다. 그런데 국토교통부 반대에 막혀 있는 실정이다.이들 현안은 '영종도' '국토교통부'와 관련이 있다. 공항철도 영종 구간이 수도권통합환승요금제 적용을 받으려면 국토부 의견이 중요하다. 영종과 청라 연결 도로인 제3연륙교 건설에 반대하고 있는 쪽도 국토부다.인천 도심에서 영종도를 가려면 인천공항고속도로나 인천대교, 공항철도, 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월미도에서 출발하는 여객선이 있지만, 이는 교통 수단보다 관광용에 가깝다.인천공항고속도로와 인천대교, 여객선은 민간사업 특성상 요금이 비싸다. 대중교통 수단으로 공항철도와 버스가 있는데, 영종은 공항철도 수도권통합환승요금제 미적용 지역이다. 영종 주민들은 자가용을 몰아도, 공항철도를 타도 비싼 요금을 내는 셈이다. 먼 곳을 가는 것이 아니라, 인천(영종)에서 인천(도심)을 넘어갈 때도 그렇다.인천시는 영종도와 청라국제도시 활성화, 이들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위해 제3연륙교를 건설할 계획이다. 하지만 국토부는 제3연륙교 개통 시 기존 민자도로(인천공항고속도로·인천대교)의 손실 보전 비용이 늘어난다며 반대하고 있다. 국토부가 대중교통인 공항철도 영종 구간 요금 인하에도 '반대', 영종·청라(경제자유구역)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인 제3연륙교 건설에도 반대하고 있는 것이다.새누리당 김정헌(중구2) 시의원은 "영종 지역 접근 수단은 모두 민자다. 세금은 내면서 공공의 혜택은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또 "국토부가 대중교통 이용과 경제자유구역 활성화의 발목을 잡고 있는 셈"이라며 "국토부는 영종 지역의 공항철도 요금을 내리고, 제3연륙교 건설에 협조해야 한다"고 했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
2016-08-23 목동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