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오피스텔 8천여 가구 예정현재도 전시회 날 주변정체 극심'3전시장' 개장 땐 상황 악화일로고양시 "설계 반영, 우려만큼 아냐"국내 전시산업의 요충지이자 경기 북부 지역의 랜드마크인 고양시 킨텍스 일대에 오피스텔, 아파트 등 대규모 주거시설이 대거 들어서면서 최악의 교통 대란이 예고되고 있다.17일 고양시에 따르면 한화건설은 킨텍스 인근 일산서구 대화동 2603 일원에 지하 5층, 지상 49층 규모(연면적 45만9천141㎡)의 복합시설 10개 동을 짓고 있다. 이 밖에도 GS건설, 포스코건설, 현대건설 등 국내 유명 건설사들은 킨텍스 반경 500m 이내 9곳에서 오피스텔, 아파트 신축 공사를 진행 중이다. 이들 아파트, 오피스텔의 가구 수는 총 8천380개로, 2019년 1월부터 2020년 중순까지 차례대로 준공될 예정이다. 한 가구당 1~2명만 입주하는 것으로 가정해도 킨텍스의 1일 평균 방문객인 1만~2만명 이상의 교통량이 증가하는 셈이다.실제 전시회가 열리는 날이면 자유로 킨텍스IC부터 킨텍스 일대에 극심한 교통 정체가 빚어지는 점을 고려하면 아파트, 오피스텔 입주 시 교통대란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입주와 맞물려 오는 2022년에 7만㎡ 규모의 킨텍스 3전시장 개장이 예정돼 있어 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킨텍스 관계자는 "모터쇼, 플레이엑스포, 베이비 페어 등 유명 전시회가 열리면 최악의 교통난이 발생하는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인데, 방문객과 주민들의 불편이 괜히 킨텍스 탓이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다"며 "이런 고충을 시에 건의하고 싶지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그저 눈치만 보고 있다"고 말했다.사정이 이렇지만 고양시 측은 별다른 대안 없이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고양시 관계자는 "당초 킨텍스가 문을 열었을 때 주변에 주거시설이 들어선다는 가정하에 주변 도로를 설계한 것"이라며 "입주가 시작되면 어느 정도 교통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우려할 만큼은 아닐 것"이라고 했다. /김재영·이준석기자 kjyoung@kyeongin.com고양시 킨텍스 일대에 오피스텔, 아파트 등 대규모 주거시설이 우후죽순 들어서면서 교통 대란이 예고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킨텍스 주변에 신축공사 진행 중인 오피스텔, 아파트 단지.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2018-06-17 김재영·이준석
과천경찰서(서장·최호열)가 2018년도 교통안전 시설개선과 '5030 속도하향정책' 추진에 따라 전년 동기간 교통사고 발생현황을 비교 분석한 결과, 올해도 속도 하향구간의 전체 교통사고 발생비율이 47% 감소했다고 밝혔다.과천서는 "속도를 줄이면 보행자가 보인다"란 표어 아래 올해 3월 교통안전시설심의위원회에 생활도로 등 9건의 속도 하향 안건을 상정, 4월부터 하향된 속도를 시행하면서 충분한 사전 홍보와 안전시설물 신설, 보수를 통해 교통안전을 지켜왔다.특히 '교통은 문화다'란 취지에 맞춰 속도를 하향 조정한 주요 도로를 살펴보면, 과천대로, 경마공원대로 등 3개소에 대해 최고속도를 60㎞/h로 하향했고, 교통약자 및 보행자가 많은 추사로 등 6개소(4.9㎞)에 대해서도 지역 특성에 따라 각각 50㎞/h, 30㎞/h로 속도를 하향 조정했다.이들 속도 하향지역에 대한 교통사고 발생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년대비 과천대로(인덕원∼갈현삼거리) 구간의 경우 하향 후 2달간 최대 50% 교통사고 발생 감소 효과가 있었고, 과천시 전체로는 약 47%의 사고 발생 감소 효과를 보였다. 천순호 교통과장은 "교통사고 주된 원인 중 하나가 과속이다. 경찰청에서 추진하는 '교통은 문화다' 캠페인도 속도 하향을 통해 안전한 교통환경을 만들어 가는 것에 그 취지가 있다. 안전한 교통환경을 만들기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과천/이석철기자 lsc@kyeongin.com과천경찰서가 교통안전 시설개선과 '5030 속도하향정책'을 추진한 결과,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올해 속도 하향구간의 전체 교통사고 발생비율이 47% 감소했다고 밝혔다. /과천경찰서 제공
2018-06-11 이석철
서울에서 남양주 별내신도시를 잇는 담터지하차도 시설물관리기관이 확정되지 않아 개통 지연으로 불편을 겪던 별내신도시 입주민들의 고충이 해결됐다.10일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박은정)에 따르면 국민권익위는 담터지하차도 유지관리 및 관리비용 부담 주체를 결정하기 위해 지난 8일 LH(한국토지주택공사) 남양주사업단에서 시민, 관계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고충민원 현장조정회의를 열고 중재안을 마련했다.담터지하차도는 별내신도시가 개발되면서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일환으로 서울 태릉에서 남양주까지 총 연장 513m, 폭 18m, 왕복 4차로로 연결되는 도로다. 애초 서울시와 남양주시, 구리시, LH 등 4개 기관이 해당 지하차도를 개발키로 합의했지만 도로가 행정구역 상 서울시와 구리시에 각각 247m(48%), 266m(52%) 위치해 있어 유지관리 주체와 관리비용 부담 이견으로 올해 6월 말 개통에 차질이 우려됐다.이에 별내신도시 입주민들은 예정대로 지하차도를 개통해 달라며 지난 2월 국민권익위에 고충민원을 제기했고 국민권익위가 수차례의 현장조사와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이날 자리를 마련했다. 국민권익위는 권태성 부위원장 주재로 주민,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 남양주 부시장, 구리 부시장, LH 남양주사업단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현장 조정회의를 열고 중재안을 최종 확정했다.중재안은 서울시와 남양주시, 구리시, LH 등 4개 기관은 담터지하차도가 6월 말 개통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고 개통 이후 지하차도 시설물은 서울시가 영구적으로 관리키로 했다. 유지관리 비용은 개통 후부터 2028년 6월 29일까지 남양주시가 전액 부담하고 같은 해 6월 30일부터는 남양주시와 구리시가 협의해 유지관리 비용의 분담비율을 결정키로 했다.권태성 국민권익위 부위원장은 "이번 조정으로 남양주시 별내신도시 주민들의 숙원인 담터지하차도가 예정대로 개통되면 상습적인 교통체증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국민 불편 현장을 찾아 적극적으로 민원을 해소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남양주/이종우기자 ljw@kyeongin.com
2018-06-10 이종우
우리나라 도로시설물 중 교량은 인천대교가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국토교통부는 2017년 말 기준 전국 도로현황을 집계한 결과 10년전인 2008년보다 도로 연장은 11만91㎞로 5.6% 증가했고, 도로시설물 중 교량은 총 3만3천572개, 터널은 총 2천382개로 각각 2008년보다 30.2%, 106.8%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도로시설물 중 터널은 인제 양양터널이 약 11㎞(1만962m)로 가장 길고, 교량은 인천대교가 약 12㎞(1만1천856m)로 가장 긴 것으로 조사됐다.전체 도로연장(11만91㎞) 중 포장도로는 9만4천549㎞(85.9%), 미포장도로는 7천320㎞(6.6%), 미개통도로(노선은 지정됐으나 설계, 공사 중으로 개통되지 않은 도로)는 8천222㎞(7.5%)로 집계되었다. 도로등급별로는 고속국도 4천717㎞(4.3%), 일반국도 1만3천983㎞(12.7%), 특별·광역시도 4천886㎞(4.4%), 지방도 1만8천55㎞(16.4%), 시도 2만9천441㎞(26.7%), 군도 2만2천989㎞(20.9%), 구도 1만6천20㎞(14.6%)로 시·군·구도가 전체의 60% 이상의 비중을 차지했다. /최규원기자 mirzstar@kyeongin.com
2018-06-06 최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