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교통난 완화와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수원~구로간 간선급행버스체계(BRT:Bus Rapid Transit)가 구축된다.국토교통부는 올해 수도권과 부산권 등 BRT 구축 사업에 모두 462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국토부는 올해 말 부산 내성~송정 BRT 사업을 마무리하고, 수원~구로 BRT 설계를 완료할 계획이다.총 사업비 492억원이 투입되는 수원~구로 BRT 노선은 장안구청부터 구로디지털단지역까지 총 26㎞ 구간으로 오는 12월 착공, 2021년 개통을 목표로 시행할 예정이다. ┃위치도 참조이 구간 BRT가 완공되면, 자가용 통행을 억제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해 통행 속도가 버스는 24%, 승용차는 3% 증가하고, 대중교통 분담률은 버스가 2% 증가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했다.국토부는 수원~구로 BRT 등 3노선의 대중교통 이용자를 대상으로 BRT 운행 효과, 만족도, 건의사항 등 종합적인 의견 수렴과 분석을 통해 우선 신호 확대, 안전하고 편리한 BRT, 빠르고 높은 교통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앞서 부산 내성~송정BRT(14.5㎞) 구간은 지난해 12월 개통됐으며, 2단계(올림픽 교차로~송정 교차로, 7.1㎞) 구간은 하반기 개통을 목적으로 공사가 진행 중이며, 부산 내성~서면 BRT(6㎞) 노선도 공사가 진행 중이다.국토부 관계자는 "BRT 노선 신설은 기존 도로를 활용해 건설비가 지하철의 10분의 1 수준으로 사업비 부담이 경감될 수 있고, 정시성 확보 및 버스·지하철의 장점을 살려 대중교통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며 "적은 사업비로 교통개선 효과가 높고 친환경적인 BRT노선 구축을 활성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규원기자 mirzstar@kyeongin.com
2018-02-11 최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