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사∼원시 복선전철(이하 소사~원시선)'이 지난 2016년 개통에서 내년 2월로 연기(지연 개통)된데 이어, 이번에는 노선에 투입될 차량 구매가 늦어지면서 또 다시 개통이 지연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소식을 접한 지역 시민사회는 지연 개통에 따른 피해 보상은 물론, 국가가 나서 1조원이 넘는 국책사업에 대한 지연 개통 문제 등 전반적인 부실문제에 대해 감사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하고 나섰다.3일 시흥시 등에 따르면 소사~원시선 사업은 총 사업비 1조5천248억원을 투입, 당초 2016년 개통예정이었으나 공사업체 부도와 토지 보상 등의 문제로 인해 2018년 2월로 개통이 지연됐다.앞서 사업시행사인 (주)이레일측도 이 같은 문제를 개통지연 사유로 꼽고, 2018년 2월 정상개통을 약속(2016년5월 26일자 인터넷판)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해당 노선에 운행될 차량(4량)을 확보하지 못해 개통이 2018년 상반기로 또 다시 연기될 처지다.시 관계자는 "소사~원시선은 현재 건설 중인 소사~대곡선과 연계되는 전철노선으로, 당초 소사~대곡선 건설사업에 차량제작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해당 사업의 지연으로 주무관청인 국토교통부에서 별도로 발주했으며, 이로 인해 차량 반입 및 시험운행이 일부 지연된 상태"라고 했다.결국, 소사~원시선이 개통되면 4량 7편성이 운행돼야 하지만 현재 차량 1대만 본선 궤도에 반입, 오는 6일 시험 운행에 들어가 개통시기가 또 다시 연기돼야 하는 상황이다.이에 대해 지역시민사회는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 시민은 "몇십만원짜리 애들 전동차 선물하는 것도 아닌데, 구매시기를 놓쳐 개통이 지연되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비판했다.또 다른 시민은 "1조원이 넘는 국책사업이 차량 구매 문제로 또 다시 연기되는 것은 납득할 수 없는 지연 사유"라며 "책임자 처벌과 지연개통으로 발생한 지역경제 피해 등에 대해 책임기관의 공개사과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시흥/김영래기자 yrk@kyeongin.com
2017-09-03 김영래
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 지하와 교통센터에 있는 일부 상업시설의 영업이 이달 1일부로 중단됐다. 최근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이곳 상업시설 운영 업체 간의 계약이 다시 체결되면서 8개월간 순차적으로 '리뉴얼(renewal)'이 진행되기 때문이다.인천공항공사는 '여객터미널 지하 1층 및 교통센터 상업시설 운영사업' 계약이 9월1일 변경됐다고 밝혔다. 지난 2007년부터 10년간 이곳 영업을 맡았던 씨제이푸드빌(주)와 인천공항공사 간의 계약이 종료됐고, 9월1일부터 2023년 12월31일까지를 계약 기간으로 재계약이 체결된 것이다.씨제이푸드빌은 이곳 운영사업자로 재선정될 때 리뉴얼을 하겠다고 제안했다. 이에 따라 지난달 31일부터 일부 매장의 영업이 중단됐고, 시설을 새롭게 단장하는 공사가 시작됐다.이 구역에는 식음료 시설뿐만 아니라 영화관, 문구점, 세탁소, 안경점, 약국, 편의점 등 공항 이용객의 다양한 수요에 맞춘 시설이 갖춰져 있다. 일부 매장의 영업이 중단되면서 공항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천공항공사는 8개월간의 리뉴얼 기간 매장 간 교차 영업으로 여객의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인천공항공사가 8월31일자로 4~7개월간 영업을 종료한다고 공지한 매장은 스타벅스, 아셈지니아(미용실), 룩옵티컬(안경점), 오비탈문구 등이다. 이외에 여러 식음료 시설이 차례로 영업을 중단하고 새 단장에 들어가게 된다. CGV영화관이나 약국, 일부 편의점의 영업은 리뉴얼 기간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영업 중단 매장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인천공항 홈페이지(www.airport.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8월31일자로 영업이 중단된 인천공항 여객터미널 지하의 스타벅스 매장.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
2017-09-03 홍현기
우체국·노인시설·주차장 등기반시설 22개소중 19곳 용지 매각도 안돼 착공시기 '불투명'38% 입주 아파트만 '덩그러니'LH(한국주택공사)가 개발한 시흥 목감택지개발지구의 입주가 시작됐지만 공공시설 태부족으로 주거시설만 갖춘 '기형적 신도시'로 전락 되고 있다.특히, 우체국이나 노인복지시설 등 십여 개의 공공시설이 들어설 땅 조차 시행처(시흥시 등)에 매각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28일 시흥시와, LH, 목감지구 입주민 등에 따르면 목감지구의 현재 입주율은 전체 1만1천800세대(총18블록) 중 4천500세대(7블록)로 38%에 달하며 오는 2019년까지 입주 완료가 예정돼 있다.그러나 입주 시작과 더불어 갖춰져야 할 기반시설은 현재 착공 시기 조차 예정할 수 없는 상황이다.실제 목감지구내 공공시설은 우체국 등 복합커뮤니티 6개소, 노인복지시설 등 사회복지시설 5개소, 주차장 11개소 등 모두 22개소 등이 건설 예정이다. 하지만 이날 주차장 용지 3개소만 시흥시가 매입한 상태로 나머지 19개 공공시설 용지가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매입된 주차장 용지 또한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일부 공공시설 용지가 건설현장의 자재 적치(?) 공간으로 활용되는 등 도시 미관을 크게 훼손하고 있다. 특히 주차장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 보니, 목감지구 내 도로 대부분이 주거시설 공사 현장 인부들의 주차장으로 전락해 통행자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뿐만 아니라, 도로나 하천 등도 제대로 관리 되지 않아 도시 미관을 크게 훼손하고 있다.한 시민은 "신도시가 건설되면서 동시에 기반시설이 갖춰져야 하지만, 기반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 보니, 신도시가 아닌, 도로는 주차장,빈 공터는 공사판과 다름 없다"고 불편함을 호소했다.이에 대해 LH관계자는 "입주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으나, 공공시설 용지가 매각되지 않고, 또 언제 매각될지 모르니, 이 같은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공공시설의 빠른 조성을 위해 부지 매각에 노력하겠다"고 했다. 시흥/김영래기자 yrk@kyeongin.com
2017-08-28 김영래